경북대 등 5개 대학 공간정보 특성화 대학원 선정

정부 예산 12억 지원

경북대 서울시립대 등 5개 대학이 공간정보 특성화대학원으로 선정됐다.

국토해양부는 공간정보산업의 핵심리더 양성을 위해 올해 공간정보 특성화대학원으로 경북대, 부경대, 서울시립대, 세종대, 인하대 등 5개 대학을을 선정, 예산 12억원을 지원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선정을 위해 산.학.연.관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가 각 대학에 대한 평가를 실시했으며, 운영 실적이 우수한 대학을 최종 선정한 것이다. .

지난 2009년부터 시작된 특성화대학원(8개) 지원사업을 통해 석사 195명, 박사 47명을 지원해 총 50명의 졸업생 중 48명이 관련분야에 취업했다.

특히 석.박사 교육기간이 2~3년임을 감안하면 올해 본격적으로 졸업생이 배출될 것이라는 게 국토부측의 설명이다.

이에 업계 전문가와 대학원생간의 멘토-멘티제 도입, 인턴기간 학점이수 인정 등을 통한 인턴제 활성화, 대학-산업계 간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MOU 체결 등 다양한 취업연계정책도 병행 추진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현장 및 업계 수요를 반영해 교과과정을 개편하는 한편 전공분야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특성화대학원별 핵심역량에 부합한 특화전략도 마련한다

한편, 지역별 공간정보 교육거점대학으로 선정된 서울대, 강원대, 충남대, 전남대, 경상대 등 14개 대학에 총 4억의 예산을 지원해 지자체 공무원, 중등교사, 미취업자 등을 대상으로 무상교육이 진행된다.

특히 올해 전주비전대학에 미취업자과정을 신설해 시범운영하게 된다. 더불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최신 기술을 습득해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해 5주간 진행하게 된다.

이외 최근 GPS와 결합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모바일 기기가 급속히 확산되는 점을 감안해 위치기반 서비스(LBS) 구현을 위한 이론교육과 실전 스마트폰 어플개발 등 실무교육을 병행키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 신설된 미취업자 교육과정 시범운영을 통해 미흡한 점을 보완.개선하여 내년부터 확대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취업자 과정을 포함한 각 거점대학의 교육일정 및 내용, 교육생 모집 요강에 대한 세부사항은 '공간정보 온라인교육센터 홈페이지(www.ngis.go.kr/egis)'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