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원산지전문가 "원산지 인증수출자 지정제도 중요하다"

미국, 프랑스, 슬로베니아의 자유무역협정(FTA)원산지전문가들이 ‘원산지 인증수출자 지정제도’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관세청은 9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에서 ‘제1회 국제원산지컨퍼런스’를 개최, ‘FTA 활용을 넘어 성장으로’ 라는 주제로 한국과 미국 등 4개국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토론을 열었다.

토론에서 전 미국 관세청 섬유산업정책국장인 자넷 라부다는 견실한 원산지관리 시스템을 미리 구축하고, 美 세관당국의 정보제공 요청에 대해 적극 협조할 것을 당부했다.

이어 관세청 김석오 원산지검증과장 원산지세탁위험이 높은 수출기업 데이터베이스와 위험관리시스템을 구축해 감시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프랑스 관세청의 정책자문관은 “인증수출자 지정은 한-EU FTA의 성공적 활용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며, 인증수출자 지정을 받게 되면 특혜관세를 간편하게 적용받을 수 있고, 세관의 도움을 받아 보다 안전한 무역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슬로베니아 관세청의 원산지담당관은 슬로베니아의 인증수출자 신청, 심사기간(2개월), 인증서 교부, 내용변경, 사후관리 및 제재조치 설명을 통해 유럽의 원산지인증수출자제도에 대한 이해를 제고했다.

관세청 이종우 FTA집행과장은 “올해 5월말 현재 대EU 수출액기준으로 71.4%에 달하는 1049개 국내기업이 원산지인증을 받았다”며, “원산지인증수출자제도는 한국산 상품의 원산지를 보증하고 공정한 FTA 무역증진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관세청 관계자는 “이번 국제원산지컨퍼런스는 한-EU FTA 발효를 앞두고 EUㆍ미국ㆍ한국의 FTA최고베테랑들이 한자리에 모여 FTA활용과 검증대응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지혜와 방안을 모색하는 기회가 되었다”며, “우리기업의 FTA활용저변을 넓혀 무역규모를 확대하고 이를 통해 경제성장을 이룩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