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재개발 아파트 하반기 잇딴 이주에 품귀 우려
안정세로 접어들던 수도권 전세시장이 재건축 아파트의 하반기 이주 소식에 또 다시 꿈틀대고 있다.
해당 아파트 단지들에서 새 집을 구하려는 주민들이 쏟아져나올 예정인 데다 일부 강남 지역에는 여름방학 학군 수요까지 가세해 벌써부터 전셋값이 반등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31일 서울시와 부동산정보업체 등에 따르면 보상 및 이주가 시작되는 관리처분인가의 직전 단계인 사업시행인가를 받은 서울 시내 재건축·재개발·도시환경정비 조합은 모두 70개다.
이 중 상당수는 올해 하반기 관리처분인가를 받아 곧바로 이주를 시작할 가능성이 있어 주변 지역에서 전세 품귀 현상이 빚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강남구 대치동 청실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은 지난 23일 조합원 총회를 열어 관리처분계획안을 통과시킨 데 이어 조만간 관할 강남구청으로부터 인가를 받을 계획이다.
관리처분인가가 내려지면 곧바로 1446가구에 이르는 이 아파트 주민들이 인근에서 전셋집이나 월셋집을 구하게 돼 전세난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청실아파트 거주자는 대부분 교육 여건이 뛰어난 대치동을 벗어나기를 꺼리고 있지만 정작 인근 은마아파트에는 전세 매물이 없어 벌써부터 가격 상승을 부채질하는 모습이다.
강동구 고덕동 고덕시영아파트 재건축조합도 올 가을 안으로 관리처분 인가를 받아 이주를 시작한다는 목표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어 이 지역 전세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고덕시영 재건축 사업의 이주 대상자는 2500가구여서 규모만 놓고 보면 청실아파트보다 파급효과가 더 클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총 6600가구 규모의 송파구 가락시영 아파트 재건축 사업까지 급물살을 타면 서울 동남권 전셋값이 크게 요동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도심 정비사업들이 추진 속도에 따라 전셋값 상승을 부추길 우려가 있다”며 “지방자치단체별로 정비사업의 시기를 조절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