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지지구내 단독주택 가구수 제한 폐지

입력 2011-05-30 13: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앞으로 택지개발지구에서 단독주택을 지을 때 가구수 제한이 없어진다. 또 공동주택용지에서는 중소형 아파트 비율이 늘어난다.

국토해양부는 이와 같은 내용의 택지개발업무처리지침 개정안을 마련해 이달 31일부터 시행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지침 개정은 지난 1일 발표된 '건설경기 연착륙 및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의 후속 조치다.

지침에 따르면 우선 택지개발지구 제1종 일반주거지역 내 단독주택 가구수를 3~5가구 이하로 제한하고 있는 규정이 폐지된다. 이는 해당 지역의 주차장·상하수도 등 도시기반시설의 용량 등 여건이 허락하는 범위에서 단독주택 가구수를 늘려 전·월세용 주택공급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또한 블록형 단독주택용지의 용적률도 현행 100% 이하에서 150% 이하로 완화된다. 블록을 하나의 개발단위로 공급함으로써 신축적인 부지조성 및 주택건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취지는 살리되, 토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국토계획법에서 허용되는 범위에서 용적율을 완화한 것이다.

다만, 제1종 전용주거지역은 쾌적한 주거환경 우선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 기존의 가구수 제한과 용적률 규정이 그대로 유지된다.

신규로 공급되는 공공택지내 공동주택용지 중 전용면적 85㎡ 이하 공급비율도 현재 60%이상에서 70% 이상으로 높아진다. 이는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중소형 주택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가 반영됐기 때문이다.

국토부는 또 이미 준공된 택지개발지구에 대해서도 이번 지침 개정 내용을 적용하도록 지구단위계획 수립 후 10년(신도시는 20년)이 지나지 않았더라도 1회에 한해 지구단위계획을 변경할 수 있도록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