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로만 동반성장…공공기관 소모성자재 대기업 몰아줘

입력 2011-05-30 11:58수정 2011-05-30 15:2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전·ETRI·강원랜드·표준협회 등 10곳 LG계열 서브원과 수백억원대 계약

대기업 계열사들의 소모성 자재 구입대행(MRO)사업 확장을 두고 비판이 일고 있는 가운데 공공기관이 대기업 MRO에 소모성 자재 구매를 몰아준 것으로 드러났다.

한나라당 정태근 의원이 30일 배포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지식경제부 산하 10개 공공기관이 LG가 지분을 갖고 있는 '서브원‘과 계약을 하여 소모성 자재를 구매했다. 서브원과 계약을 체결한 지경부 산하 공공기관은 △한국전력공사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한전KDN △ETRI △한국전기연구원 △철도기술연구원 △지질자원연구원 △강원랜드 △한국표준협회 등 10곳이다.

정 의원에 따르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2008년부터 2009년까지 220억원, 지질자원연구원은 2009년부터 201년까지 42억원의 소모성자재를 서브원을 통해 구매했다. 한국전력공사는 2010년도 총 11억원, 한국남부발전은 2010년에 20억원을 구매하는 등 지경부 산한 공공기관이 서브원으로부터 소모성자재 구매 비용은 32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대기업 계열 MRO는 최근 3년 동안 매출액이 급등했다. 삼성그룹 계열의 아이마켓코리아(IMK)는 지난 2008년 1조653억원에서 지난해 1조5492억원으로, LG 계열 서브원은 같은 기간 2조375억원에서 3조8478억원으로 두배 가량 증가했다. SK 계열의 코리아MRO 역시 700억원에서 1028억원으로 대폭 증가했다.

정 의원은 “대기업 그룹이 우월한 마케팅 능력과 협상력을 앞세워 무분별하게 시장을 확대하다 보니 중소기업 문구·유통영역이 급속히 잠식되는 역기능을 초래하고 있다”면서 “국내 문구 제조·유통업체는 2만8000개, 종사자 6만9000명으로 추산되고 있음에도 공공기관까지 대기업 계열사의 MRO기업을 통해 소모성 자재를 구매해야 하는지 이해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그는 “공정거래위원회는 대기업 MRO가 우월적 지위를 남용해 거래를 강요하고, 물품납품업체에 가격 후려치기 등 불공정거래가 없는지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정 의원은 오는 6월 임시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이 문제를 철저히 따지기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