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M&A까지 좌지우지…도 넘은 금융노조 '떼법'

입력 2011-05-30 11:13수정 2011-05-30 11:5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외환銀 매각 놓고 파업 경고…비정규직 처우 개선은 '나몰라라'

"정권말 노려 투쟁강도 높여" 비난목소리

비정규직 처우 개선 외면은 아킬레스건

금융노조가 정권 말이라는 정치적 시기를 이용해 투쟁 강도를 높이고 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임금 협상뿐 아니라 우리금융지주의 민영화 등 인수·합병(M&A) 현안까지 좌지우지 하려 한다는 것. 조직률이 앞서는 금융노조의 특성을 이용, 이권 챙기기에 본격 나섰다는 분석이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다음달 22일 전국 34개 지부의 10만여명이 참여하는 집회를 개최하기로 했다고 30일 밝혔다.

집회를 개최하는 이유는 신입행원의 임금 정상화가 시급하기 때문이란 설명이다. 하지만 최근 금융권에서 벌어지는 외환은행 매각, 우리금융지주의 민영화 등 모든 사안이 한데 어우러질 전망이다.

금융노조에 속해 있는 각 지부들은 개별 투쟁에 몰두하고 있다. 우리금융 노조는 지난 24일 회현동 본점에서 독자민영화를 위한 첫 결의대회를 가졌다. SC제일은행 노조도 이날 성과연봉제를 반대하는 파업을 하룻동안 벌인다. 이 은행의 파업은 7년만에 처음이다.

금융권에서는 금융노조가 최근의 사안을 한데 묶기 위한 투쟁의 큰 그림을 그리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참에 임금 단체협상 등 모든 사안을 함께 가져가겠다는 시각이다.

하지만 은행권 내부에서는 비판여론도 만만치 않다. 금융권에서 이뤄지는 인수·합병(M&A) 사안을 파업의 빌미로 이용하는 것도 무리수라는 지적이다. 금융노조는 지난 2008년에도 정부의 금융공기업의 민영화 방침에 반대하는 총파업 결의대회를 가졌다. 당시 노조는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문화제에 참가하는 연대 투쟁을 벌였다.

공기업 민영화를 미국산 쇠고기 수입 등 정치현안과 결부지었다. 당시에도 이같은 사안에 반대해 일부 지부가 불참했다. 당위성이 떨어진 것은 말할 나위 없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우리금융지주의 독자 민영화가 전체 금융노조의 동의를 얻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고 말했다.

각 지부 간의 이해관계가 다르기 때문이다. 일부 지부에서는 6월 집회의 투쟁 동력이 어디까지 향할지 의문을 품고 있다는 전언이다.

임단협 사안도 투쟁의 이유로 삼기엔 아직 부족하다. 통상 은행엽합회와의 임단협은 6월부터 진행했다. 지난해에도 6월에 시작해 12월에 마무리지었다. 금융노조는 현재 임단협 사안이 지지부진한 것도 문제삼고 있다. 지난 12일 첫 상견례 후 구체적인 일정을 잡지 못하고 있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새로 선임된 교섭위원들의 권한이 6월부터 시작되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금융노조가 비정규직 처우 개선에 적극적인지 않은 것은 아킬레스건이다. 함께 일하는 근로자의 복지보다는 민영화 등 대형 이슈에 치우쳐 있다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다.

실제 이날 SC제일은행의 파업은 지점의 영업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창구 직원의 대부분은 1300여명에 이르는 비정규직이기 때문이다. 반쪽 파업이란 말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