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H 포털, 이메일 인증만으로 'OK'

입력 2011-05-24 17: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발 앞선 모바일 접근성으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스마트 모바일 컴퍼니 KTH는 국내 포털 중 최초로 이메일ㆍ트위터ㆍ페이스북 계정만으로도 로그인이 가능한 ‘개방형 인증 체계’를 도입, 다양한 유무선 서비스를 복잡한 회원 가입 절차 없이 즐길 수 있도록 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구글, 트위터, 페이스북이 채택하고 있는 비실명 인증방식으로, 국내 포털들이 채택하고 있는 실명 로그인 방식과는 상반된다. 현재 국내 대부분의 유무선 서비스는 실명 인증의 로그인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글로벌 서비스에 비해 이용이 불편하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KTH는 이번 개방형 인증체계 도입으로 글로벌 트렌드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해 해외 서비스 이용자들에게도 보다 쉬운 접근성을 제공할 방침이다. 특히 푸딩카메라, 푸딩얼굴인식 등 KTH의 주요 모바일 서비스의 글로벌 버전 출시를 앞두고, 이번 개방형 인증 방식 채택으로 해외 이용자들도 보다 쉽게 앱을 이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KTH가 새롭게 도입한 개방형 인증 체계는 주민등록번호 입력 등 별도의 회원 가입절차 없이 간단한 등록 절차만으로도 로그인이 가능한 새로운 인증 체계로, 이메일 인증과 트위터ㆍ페이스북 연동의 OAuth 인증 등 멀티 인증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KTH는 이번 인증 체계 개편을 통해 아임IN, 푸딩 등 모바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파란에 가입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없애 이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아임IN, 푸딩 등에 글을 게시하면 페이스북, 트위터에 동시에 글이 발행되는 ‘글 내보내기’ 등 기존 글로벌 서비스와의 연동을 강화했다. 파란 계정이 없는 이용자들도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이메일 계정이나 트위터ㆍ페이스북 계정을 통해 파란 및 KTH가 제공하는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

또한, 인터넷 실명제에 따른 게시판, 이메일 등의 서비스 이용시 ‘뉴스 댓글 달기’ 등 실명제 법규 적용 영역의 진입 시점에 실명인증을 하도록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 했다.

KTH 소셜플랫폼팀 서선일 PM은 “최근 글로벌 IT 시장의 트렌드는 개인정보의 노출과 서비스 이용의 복잡성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KTH 역시 개방형 인증 체계 도입을 통해 글로벌 IT 표준을 지향, 추후 아임IN, 푸딩 등 KTH가 보유한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의 해외 진출 시 외국인 이용자들의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및 이용자 편의성을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