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한나라, 7·4전당대회 룰 이견차

입력 2011-05-17 11:42수정 2011-05-17 11: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나라당 쇄신 모임인 ‘새로운 한나라’는 17일 첫 회의를 갖고 7월 4일로 예정된 전당대회 룰을 논의했으나 내부이견이 나오면서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모임 공동간사인 정태근 의원은 이날 국회 브리핑을 통해 “대표최고위원과 최고위원의 분리 선출 문제는 다수가 동의했으나 일부 의견이 있어 더 논의키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대선 경선주자가 대선 1년 6개월 전부터 선출직 당직을 맡지 못하게 한 당헌 당규 개정 여부를 논의했다”면서 “그러나 당권 대권 분기기간의 축소 문제와 관련해서는 부정적 의견이 다수였다”고 전했다. 다만 당 대표 선출방식과 관련해 선거인단을 대폭 늘려야 한다는 데는 합의했다.

정 의원은 또 “모임 차원의 후보 단일화 논의는 ‘새로운 한나라’와는 별개로 논의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모임은 △보수가치의 재정립 △‘민생안보’와 국민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 재점검 △정당개혁과 정치문화 개혁 및 선거제도 개혁 △국회선진화 등 모임의 4대 활동방향을 제시했다.

정 의원은 “이 네 가지 방향의 실무준비팀을 구성하고 매주 전문가 토론회를 준비해 전대 전 이를 확정하고 차기지도부에 제안할 것”이라며 “권역별 ‘국민&당원 순회 토론회’를 개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표적집단면접법(FGI)을 포함한 깊이 있는 여론조사를 원내대표에 요청할 것”이라며 “이것이 집행되지 않으면 새로운 한나라가 비용을 부담해 조기에 실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모임에서는 당과 청와대를 포함한 보수세력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빗발쳤다.

모임은 “젊은 세대가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을 그냥 싫어하는 것이 아니다”며 “당내 기득권세력은 과거 권위주의 시대 당·청관계에 매몰돼 당내 민주주의와 의회주의를 후퇴시켰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2~30대뿐 아니라 40대마저도 당에 등을 돌린 것은 ‘생활정치’에 대해 당과 보수세력 전체가 둔감했기 때문”이라며 “당과 보수진영은 냉철히 반성하고 성찰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