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 저축은행 매각 차질, 해법은 없나

입력 2011-05-17 11:02수정 2011-05-17 13: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예보 2차 설득 나서…농성자 자진해산 쉽지 않아

순조로울 것으로 예상됐던 7개 영업정지 저축은행의 매각작업이 멈춰 섰다.

부산저축은행 예금자들이 본점을 점거해 농성을 벌이며 강제매각 저지에 나섰기 때문이다.

예금보험공사는 부산저축은행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업정지 저축은행의 매각을 별도로 추진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7개 저축은행 모두 매각절차가 잠정 중단된 것.

이에 따라 예금자 피해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내달 중으로 인수작업을 마무리하고 영업을 정상화 시켜 예금지급 등 업무를 재개할 계획이었지만 시간이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부산저축은행 예금자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는 9일부터 17일 현재까지 부산저축은행 초량 본점을 점거해 농성을 벌이고 있다. 주요 요구 사항은 강제매각을 철회하고 예금을 전액 보전해달라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자체정상화가 어려운 상황에서 예금 전액 보전은 원칙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에 예보가 지난 12일 1차 설득작업에 나선 바 있지만 부산저축은행 비대위는 책임자 처벌과 예금자 재산 보호대책을 내놓을 때까지는 물러서지 않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17일 예보는 부산저축은행 초량본점으로 내려가 비대위와 만나 2차 설득작업을 벌인다는 계획이다.

현재의 정확한 부산저축은행의 대주주와 경영상황을 설명하고 매각 시기가 늦어질수록 오히려 예금자 피해가 커질 것이란 점을 이해시킨다는 것.

예금 전액을 보전해달라는 요구는 보장한도인 5000만원이 넘는 초과 예금자와 후순위채 투자자로 구성돼 있어 예보의 설득작업을 통한 자진 해산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예보는 지난 주 설득작업을 통해 이번주에 매각공고를 내고 이달 말까지 인수자 실사를 마무리해 내달 중순경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부산저축은행 비대위의 강경한 입장으로 매각절차는 지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5000만원 미만 예금자의 피해도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예보 관계자는 “현재 상황에서 5000만원 이상 예금과 후순위채 투자금을 보장해줄 수 없는 상황으로 넘어왔다”며 “무조건 매각을 반대할 경우 매각이 지연돼 5000만원 이하 예금자들의 피해도 뒤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