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금융의 '메가뱅크' 꼼수

입력 2011-05-16 11:17수정 2011-05-16 11: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우리銀 인수·민영화 동시 추진...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원칙 위배

산은금융지주가 우리금융지주 인수와 민영화를 동시에 추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산은금융의 ‘우리금융 인수·민영화 패키지 플랜’이 정부의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원칙에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현실성이 없다는 지적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은금융은 우리금융과 합칠 경우 두 금융지주의 민영화가 불가능할 것이라는 일부 분석과 달리 내부적으로 인수와 민영화를 패키지로 실행하는 로드맵을 마련했다.

로드맵에 따르면 ‘우리금융 인수자금 마련→산은금융 상장→우리금융 인수’의 3단계로 구성된다. 즉, 산은금융이 우선주 발행 등으로 인수자금 조달을 통해 정부지분 10~20%를 감소시킨 후 산은금융지주 기업공개(IPO)로 정부 지분 10~20%를 추가로 매각한다는 것이다. 이후 우리금융지주 인수합병을 통해 정부지분 10~20%가 추가로 줄어 최종적으로 정부지분의 현재의 50% 정도로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금융권 안팎에선 이같은 로드맵이 우리금융 민영화 원칙에 역행할 뿐만 아니라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원칙에도 위배된다는 지적이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정부 소유인 산은금융이 내놓은 입찰대금으로 공적자금을 회수하는 것은 의미가 없고 실효성 또한 크지 않다”고 지적했다.

박경서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도 “산은금융의 우리금융 인수는 교과서에 나오는 민영화 논리를 뒤집는 것으로 말이 안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인수자금 조달을 위해 산은금융이 실시할 제3 배정 증자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산업자본의 참여가 원천적으로 제한된 상황에서 외국계 투자자 유치마저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국민연금 등 연기금의 참여도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한편 금융권에서 오는 17일 공적자금위원회에서 우리금융을 분리매각할지, 일괄매각할지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리금융 재매각이 자회사 분할매각 방식으로 추진되면 KB금융지주나 신한금융지주 등 금융지주사들이 제2금융권 자회사에 관심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제2금융권 자회사로는 우리투자증권과 우리아비바생명, 우리파이낸셜 등이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어윤대 KB금융 회장의 경우 우리투자증권에 관심이 있다는 점을 여러 번 언급한데다 비은행 부분의 수익비중을 높일 계획인 만큼 매력적”이라며 “보험부분 강화를 꾀하고 있는 신한금융도 인수전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