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사외이사도 정부 고위직 출신 '잔치'

입력 2011-05-16 07:41수정 2011-05-16 08:2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외이사 역할 본질 훼손 우려

정기 주주총회를 앞두고 있는 증권업계가 사외이사에 고위공무원 출신들을 잇따라 영입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최근 금융감독원 출신 감사선임이 문제가 되면서 사외이사들로 구성된 감사위원회가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지만, 사외이사마저 권력기관 출신들로 채워질 경우 감사위원회의 중립성에 대한 신뢰도 문제가 불거질 것으로 전망된다.

16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오는 27일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는 동양종금증권은 이달곤 전 행정안전부 장관과 이동근 전 서울 서부지검장을 사외이사로 신규선임하는 안건을 상정할 예정이다.

또 참여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경제보좌관과 영국 대사를 지낸 조윤제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의 재선임안도 주총 안건에 포함했다.

같은 날 주총을 여는 대신증권도 김성호 전 보건복지부 장관과 황인태 전 금감원 전문위원을 사외이사로 재선임하는 안건을 다룰 예정이다. 현대증권도 이 날 주총을 열고 박충근 전 대구지검 서부지청장을 신임 사외이사로 임명하는 안건을 다루기로 했다.

삼성증권은 내달 3일 주총을 열고 신창언 전 헌법재판소 재판관과 안세영 전 산업자원부 국장을 사외이사로 신규선임한다. 안 교수는 현 정부 탄생에 많은 역할을 한 뉴라이트 정책위원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이처럼 고위 공무원 출신들을 사외이사로 영입할 경우 경영진에 대한 견제와 감시 역할이 소홀해질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많은 상황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정부 고위직 출신으로 사외이사를 선임하는 것은 대관(對官)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도 있다”며 “특히 전문지식을 요하는 증권업계에 비금융권 출신의 사외이사는 거수기 역할에 지나지 않을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특히 최근 금감원 출신 감사선임에 대한 문제점이 커지면서 사외이사 등으로 구성된 감사위원회가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지만, 전문성과 중립성을 갖추지 않은 사외이사로 구성된 감사위원회도 유명무실할 것이라는 우려섞인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