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 잘날 없는 '매일유업'

입력 2011-05-09 11:00수정 2011-05-09 15:2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포르말린 우유 논란 해프닝이어 실적악화에 또다시 구조조정설

포르말린 우유의 안전성 논란이 해프닝으로 마무리되며 한숨 돌렸던 매일유업이 일부 임원들에 대한 문책 인사를 단행한 데 이어 일부 팀장들의 이탈 움직임이 보이는 등 어수선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1조 클럽을 공언하며 자신감에 넘쳤던 영업실적이 악화되고 잇따른 분유 안전성 파동과 사업확장에 따른 불확실성 증대로 직원들 마저 불안에 떨고 있다는 것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매일유업은 7명의 임원 사직과 실적 악화 등으로 3~4명 가량의 10~15년차 내외 팀장급 중간 간부들이 사직을 고려하고 있는 등 어수선한 분위기가 계속되고 있다. 포르말린 우유 파동이 일부 임원 사직으로 동요했던 직원들을 잠시나마 한데 모으긴 했지만, 사건이 마무리되자 일부 직원은 이미 면접까지 다 마치고 매일유업을 떠날 준비를 하고 있다.

직원들 사이에서는 “지난 번 임원 48명의 사표를 받으며 최고경영진이 조직 재정비에 나섰지만 포르말린 사태 이후 회사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졌다” “일부 팀장들이 이직을 준비한다는 소문이 퍼지며 나머지 직원들의 분위기가 어수선하다”는 반응이다. 게다가 식중독균이 발견된 분유, 중국수출 분유의 부적합 판결, 포르말린 우유 논란이 그대로 매출 감소에 따른 실적 악화로 이어지며 회사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것도 이유 중 하나다.

매일유업은 지난해 계열사 상하치즈를 통합하며 연매출 9095억원을 기록하는 등 큰폭으로 늘어났지만 공언했던 1조클럽 가입에는 실패했다. 영업이익 역시 지난해 270억에서 191억원으로 급감했다. 올해 1분기 역시 연이은 안전성 파동에 따라 기존 매출의 20%가 줄어드는 등 먹구름이 껴있는 상태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현재 매일유업에 대한 시장 반응을 볼 때 단기간에 기존 수준으로 회복하기는 힘들어보인다”며 “아마도 2.4분기, 3/4분기 까지 적자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보인다”고 내다봤다.

재무상태도 안심할 수준이 아니다. 지난해 단기차입금은 430억원으로 2009년에 비해 230억원이 늘어났다. 2007년 말 630억원에 불과했던 총차입금 역시 지난해 9월말 기준으로 1280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회사 내에서는 자금사정이 좋지 않다는 말까지 들리고 있다.

업계에서는 임원 48명 중 7명이 잘려나갔지만 현재 상태가 이어진다면 추가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수년 전부터 벌려놓은 외식업 등에서 수익이 나오지 않고 주력사업이 타격을 입은 상태에서 올해 말이나 내년 초 구조조정을 단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포르말린 사태를 게기로 한데 뭉쳤던 내부 조직이 실적악화와 구조조정설 등 회사의 위기로 다시 동요하고 있는 것이다.

매일유업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매일유업이 사업확대에 나서면서 임원 수를 많이 늘려놓은 것에 비해 수익성은 바닥을 치고 있다”며 “특히 팀장급들의 이탈 움직임과 이에 따른 밑에 직원들의 동요로 인해 조직 분위기가 땅을 치고 있어 당분간 이같은 상황은 계속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