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 보복 우려에 서방 '비상'

입력 2011-05-04 10: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반미 기도회...美·유럽·동남아 경계태세 강화

9·11 테러를 주도한 알카에다 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이 사살된 후 미국 전역은 물론 세계 주요국이 이슬람 무장단체들의 보복 테러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

AFP통신은 3일(현지시간) 이슬람 무장단체들이 빈 라덴의 죽음을 '순교'로 추앙하며 미국과의 '성전'을 결의하는 반면, 미국 유럽 동남아 등지의 국가들은 이들의 보복공격에 대비한 안보태세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파키스탄 무장단체 '라시카르-에-토이바(LeT)'는 전일 라호르에 있는 LeT 본부에서 수천명이 참석한 가운데 빈 라덴을 위한 기도회를 열었다.

LeT의 창설자 하피즈 모하마드 사이드는 기도회에서 "빈 라덴은 무슬림 세계를 각성시킨 위대한 사람"이라면서 "순교는 잃어버리는게 아니라 무슬림의 긍지"라고 성전을 독려했다.

LeT는 지난 2008년 11월 모두 166명이 희생된 인도 뭄바이 테러사건의 배후로 지목된 무장단체다.

수단의 수도 카르툼에서도 급진 이슬람 정당이 주도한 빈 라덴 추도 기도회가 1000명이 모인 가운데 열린 것으로 알려졌다.

카트룸은 1990년대 빈 라덴이 5년간 머문 적이 있는 곳이다.

기도회는 반미 시위로 이어졌으며 참석자들은 '지하드(성전)', '미국에 죽음을' 등의 구호를 외치며 반미 결의를 새롭게 다졌다.

수단을 비롯한 '마그레브' 지역도 알카에다 북아프리카 지부인 'AQIM'이 건재한 상태여서 보복 테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빈 라덴 제거작전을 수행한 미국은 물론 이슬람의 잦은 테러표적이 돼 온 유럽 각국, 알카에다 연계 과격단체가 건재한 동남아도 보복 테러 경계 강화에 나서고 있다.

미국 국무부는 빈 라덴 제거 작전이 벌어진 파키스탄 주재 대사관의외 업무와 페샤와르 및 라호르, 카라치 소재 영사 업무를 잠정 중단한 채 당분간 자국민 보호 등 긴급 업무만 수행한다고 밝혔다.

스페인은 북아프리카와 사하라 지역,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내 대사관의 경비를 강화하고 국민들에게 파키스탄으로의 여행 자제를 권고했다.

프랑스는 국내 보복 테러 가능성을 우려해 경계를 강화했으며 독일과 이탈리아도 가능성을 경고했다.

세계 최대 무슬림 국가인 인도네시아는 이번 주말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 정상회의까지 겹쳐 바짝 긴장하고 있는 상태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정상회의장 인근 등 테러 위험이 있는 지역에 군을 배치하는 등 경계 수위를 한층 강화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