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공공ㆍ민간 임대주택 공급물량 전년比 6.8%↑

입력 2011-05-04 08: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임대주택 공급물량이 전년 대비 6.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LH 공급부진에도 민간ㆍ지자체 임대 물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국토해양부는 지난해 임대주택 공급 통계를 집계한 결과 총 13만 8009가구가 공급됐다고 4일 밝혔다. 이는 2009년에 공급한 12만 9200가구에 비해 6.8%가량 늘어난 것이다.

이 가운데 공공부문의 건설ㆍ매입ㆍ전세임대는 10만6천900가구로 전년(10만3700가구) 대비 3.1% 늘었고, 민간이 공급한 건설ㆍ매입임대는 3만1천100가구로 전년(2만5500가구) 대비 22% 증가했다.

공공부문 임대가 지난해보다 늘어난 것은 자금난을 겪고 있는 LH의 공급물량이 2008년 10만3000가구, 2009년 8만가구에서 지난해는 7만7000가구로 전년 대비 3.6% 감소한 반면 지자체 물량이 전년 대비 147.8% 늘어난 때문이다.

LH의 공급 부진으로 국민임대가 2009년 4만8300가구에서 지난해 3만5300가구로 27% 감소했고, 5년 임대는 공급 유형이 10년 임대로 대체되면서 2009년 1만4300가구에서 지난해 1천700가구로 88%나 급감했다.

전세임대도 지난해 1만3600가구로 2009년(1만4100가구)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이에 비해 지난해 3만4900가구가 인허가를 받아 2009년(2만1000가구) 대비 66%가 증가한 10년 임대주택을 비롯해 영구임대(1만2500가구), 장기전세(8900가구)는 전년 대비 공급물량이 늘었다.

한편 지난해 전국의 임대주택 재고는 총 139만9227가구로 2009년(13만1000여가구) 대비 6.7%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5년 임대는 2009년 6만2000가구에서 2010년 5만9300가구로 4.4% 감소했지만 국민임대주택은 참여정부 시절 매년 9만~11만가구씩 인허가를 받았던 영향으로 지난해 입주물량이 늘면서 총 3만7600가구로 전년(2만9600가구) 대비 27% 증가했다.

10년 임대도 6만3000가구에서 7만2000가구로 14.2% 증가했다. 이처럼 지난해 임대주택 재고와 공급물량이 모두 늘었지만 매매값 하락에 따른 전세 수요 증가 등 구조적인 원인 탓에 전세난을 잡기에는 역부족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