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영철 캠코 사장 “저축銀 부실 PF 정상화 숏 리스트 구성”

입력 2011-05-04 09: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저축銀 부실 PF대출채권, 내년 3월까지 1조5천억 만기 도래

장영철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은 “저축은행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채권 중 구제할 수 있는 사업장에 대한 정상화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장 사장은 3일(현지시간) 오후 아시아개발은행(ADB) 총회 참석 차 베트남 하노이 출장 중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히고 “이를 위해 숏 리스트(예비 후보)를 만들었으며 정상화가 가능한 사업장을 가려내 1~2곳이라도 빨리 정상화 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체 부실 PF사업장을 한꺼번에 정리 할 수 없어 1차 정리 블록을 만들었으며 전문가들과 상의를 통해 살릴 수 있는 사업장의 범위를 좁혀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캠코가 현재 환매 또는 사후정산 조건으로 보유하고 있는 PF 부실채권은 시중은행을 포함해 약 8조원 규모다. 이중 저축은행으로부터 인수한 부실채권 규모는 약 6조2000억원으로 올 연말에 3000억원, 내년 3월에 1조2000억원이 만기 도래한다. 한꺼번에 큰 규모의 만기가 돌아올 경우 부동산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업장의 추가 부실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 장 사장은 “인수 당시 3년 기한을 주고 부실채권을 사후정산하는 조건으로 사들였으나 그동안 (부동산 시장) 상황이 좋지 않아 저축은행들의 고민이 많을 것”이라며 “특히 내년 3월 만기는 규모가 커서 걱정”이라고 말했다.

장 사장은 이어 “일단 만기가 돌아오는 부분에 대해서는 (저축은행에) 환매한다는 게 캠코의 기본 입장”이라며 “다만 최종 판단은 금융당국의 몫”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간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이후 캠코가 떠안은 PF대출채권이 환매 또는 사후정산될 경우 저축은행 경영에 부담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캠코는 그동안 관리 측면에서만 봐왔던 부실 PF 사업장을 최근 ‘정상화’하는 쪽으로 시각을 바꿨다. 또한 지난 2월 ‘부실 PF 정상화 추진단’을 발족했다. 장 사장은 “정상화하려는 마음으로 보면 ‘진흙속의 진주’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며 “(정상화 가능성이 있는 사업장에 한해) 각 사업장에 적합한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캠코가 추진 중인 서민금융 지원과 관련해 장 사장은 “현재 개인채무 불이행자가 우리나라 전체 경제활동인구의 10%에 육박하는 245만명에 달한다”며 “이들이 바꿔드림론(구 전환대출)을 신청하면 다수의 채권자가 캠코 하나로 바뀌어 편리해진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특히 바꿔드림론 신청자의 대부분이 연 40% 이상의 대출금리를 내고 있지만 바꿔드림론을 신청하면 10%대로 금리가 내려간다”며 “캠코가 우리 경제의 순환을 원활케 하는 신장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장 사장은 워크아웃을 추진 중인 동일토건과 관련 “자금 추가 등에 대해 채권금융기관간 합의가 거의 됐으며, 워크아웃을 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