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등 제2금융권도 PF해법 골몰

입력 2011-04-20 10:5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제2금융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해법이 저축은행은 국제회계기준(IFRS)을 유연하게 도입하는 방식으로, 보험사는 리스크관리를 차등화하는 방식으로 가닥이 잡혔다.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당국은 3조5000억원 규모의 자산관리공사(캠코) 구조조정기금을 활용, 저축은행의 PF 부실채권을 정리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다만 국제회계기준(IFRS) 적용되는 상장 저축은행의 경우 PF 부실채권을 사들이는 구조를 달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는 올해부터 IFRS를 적용할 경우 상장 저축은행은 현재의 사후정산 방식으로는 PF 부실채권을 사들일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IFRS 적용대상 저축은행은 솔로몬, 한국, 진흥, 제일, 푸른, 신민, 서울 등 7개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IFRS를 적용해도 사후정산 방식으로 PF 부실채권을 사주는 등 다양한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험사의 PF 채권에 대해서는 ‘투트랙 처리’가 기본 방침이다. 사업성이 있으면 과감하게 만기를 연장거나 신규 지원하되, 회생 가능성이 없으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는 것이다. 금융감독원은 PF 채권이 많은 4개 손해보험사의 임원들을 불러 이 같은 방침을 전달하고 조만간 전체 생명보험사에도 공문을 보낼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사 PF는 대부분 은행 등과 컨소시엄 형태”라며 “우량 PF에 대해선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은행권의 흐름과 보조를 맞추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