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지하수, 침출수 오염 주장 또다시 제기

입력 2011-04-20 08: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경기도 이천시 구제역 매몰지 주변 지하수가 가축 사체에서 나온 침출수로 오염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또다시 제기됐다.

이천환경운동연합은 지난달 28일 이천시 대월면 대대리와 도리리 등 2곳의 가축 매몰지 주변 농가에서 식수로 사용하는 지하수를 채취해 서울대 보건대학원에 분석을 의뢰한 결과 염소이온과 암모니아성 질소가 검출됐다고 20일 밝혔다.

대대리의 시료는 지난 1월27일 1959마리의 돼지를 매몰한 곳에서 50여m 떨어진 곳에 있는 관정에서, 도리리의 시료는 같은 달 21일 돼지 1670마리를 매몰한 곳에서 100여m 떨어진 지점에서 각각 채취했다. 분석 결과, 대대리 지하수에서는 암모니아성 질소 0.2㎎/ℓ, 질산성 질소 12.49㎎/ℓ, 염소이온 14.75㎎/ℓ가 검출됐다.

도리리 지하수에서는 암모니아성 질소 0.3㎎/ℓ, 질산성 질소 57.22㎎/ℓ, 염소이온 33.63㎎/ℓ가 나왔다.

환경부의 가축 매몰지 환경관리 지침에는 암모니아성 질소, 질산성 질소, 염소이온, 대장균 등의 항목이 배경농도 지점에 비해 높게 검출되거나 암모니아성 질소, 염소이온 등이 동반 상승하는지를 토대로 전문가 검토·분석을 거쳐 침출수 유출여부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질산성 질소는 도리리 지하수에서 환경부의 음용수 수질기준(10㎎/ℓ 이하)의 5배가 넘었고, 대대리 지하수에서도 기준치를 넘겨 식수로 부적합했다. 김미야 이천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지하수를 사용하는 농민들을 위해 400곳에 이르는 이천지역 매몰지 주변의 지하수에 대한 전수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한국원자력연구원은 돼지 9016마리를 매몰한 이천시 백사면 모전리 매몰지 주변 지하수가 침출수로 오염됐다고 분석한 반면 환경부는 이를 ‘간이 검증법’이라며 침출수 오염은 없다고 해명해 논란이 일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