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는 고학력자 300만명 육박

입력 2011-04-18 08:0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고학력 인구가 30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대학교(4년제) 이상 졸업자는 처음 200만명을 돌파했다.

1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비경제활동(비경)인구 1639만2000명 가운데 전문대와 대학교(4년제) 이상 졸업자는 각각 93만8000명, 201만4000명으로 전체 대졸 이상자는 295만2000명으로 파악됐다.

대졸(전문대 포함) 이상 비경 인구는 1분기 기준으로 10년 전 164만4000명이었으나 2004년(206만2000명)에 200만명을 넘어선 뒤 해마다 9만~22만명 가량씩 증가, 2007~2010년에 각각 234만9000명, 256만8000명, 275만명, 285만9000명 등으로 늘었다.

비경 인구 가운데 대졸 이상 비중은 2001년 11.21%에서 2007~2010년 15.35%, 16.49%, 17.09%, 17.59%에 이어 지난 1분기에 18.01%로 높아졌다.

특히 전체 비경 인구가 지난 10년 사이 11.7% 증가하는 동안 고졸(4.2%), 중졸(3.3%), 초등학교졸업 이하(1.7%)의 경우 미미한 변화를 보인 반면 대졸 이상(전문대졸 78.0%, 대학교졸 이상 80.3%) 비경 인구는 79.5% 늘면서 전체 비경 인구 증가세를 주도했다.

대졸 이상의 경제활동 참가율도 지난 1분기 76.8%로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고용시장 사정이 회복되고 있는데도 작년 같은 기간보다 오히려 0.1%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 1분기에는 77.3%였다.

이런 흐름은 뜨거운 교육열에 따라 대졸자가 양산되고 학력 인플레가 심화된데 따른 것이지만, 고령화가 진행되고 고용률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는 고용시장 상황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고등학교 졸업자의 대학 진학률은 1990년 33.2%였지만 1995년 51.4%, 1997년 60.1%, 2001년 70.5%에 이어 2004년 81.3%로 올라선 이후 80%대에 머물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고용률이 외환위기 때 60%선이 무너졌다가 2002년 잠시 60%선을 회복했다가 지금은 58%대까지 떨어져 있는 고용시장 상황과도 연결돼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