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캐피탈 "2차 피해 막아라"

입력 2011-04-11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감원, 다른 금융권 실태점검 확대 검토

해킹 사고를 당한 현대캐피탈이 사태 수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신용정보 유출로 인한 금전 피해는 없겠지만 개인정보 도용으로 인한 2차 피해와 추가 해킹을 막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는 모습이다.

11일 캐피탈업계에 따르면 해킹 피해 규모가 갈수록 불어나는 가운데 현대캐피탈은 보안 수준을 높이고 2차 피해를 막는 데 주력하고 있다.

마이너스통장과 같은 한도대출 상품인 프라임론패스를 사용하는 1만3000여 고객의 번호와 비밀번호도 해킹당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금전적 피해도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다.

일단 현대캐피탈은 실질적인 금전 피해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타인이 유출된 정보를 통해 대출을 받더라도 해당 고객이 지정한 계좌로만 입금이 되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확인된 해킹된 개인 정보는 현대캐피탈과 해당 고객의 거래 내역만 확인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게 현대캐피탈의 설명이다.

현대캐피탈은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대출 신청 고객에게 일일이 확인 전화를 다시 걸고 있다.

현대캐피탈 황유노 부사장은 “ARS나 온라인 등을 통해 대출 신청이 들어오면 다시 고객의 핸드폰으로 전화를 걸어 본인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라며 “입금 계좌 관련 정보는 따로 저장이 돼 있었고 이는 해킹되지 않아 금전적인 피해는 없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추가 해킹 위협에 대한 대응책도 마련하고 있다. 현대캐피탈은 온라인 보안 수준을 최고 수준으로 높이고 서버에 접근하는 모든 아이피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하지만 이름, 주민등록번호, 신용등급 등 이미 유출된 개인정보는 보이스피싱 등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이 있다.

현대캐피탈은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홈페이지, 이메일, 전화로 고객에게 일일이 관련 사실을 알리고 있다. 또 고객 정보가 인터넷에 떠돌지 않도록 포털사이트와 대형사이트에 협조공문을 보내 개인정보의 거래와 게시를 차단하도록 했다. 또한 자체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관련 내용이 올라오는 즉시 수사기관에 신고하고 삭제를 요청할 방침이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이날 오전 특별검사에 착수해 현대캐피탈이 전자금융감독규정을 제대로 준수했는지 점검하고 있다. 금감원은 현대캐피탈 특별검사를 통해 다른 회사에도 비슷한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으면 다른 업권으로 실태점검을 확대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