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형 생활주택 인허가 실적 '주춤'

입력 2011-04-07 20: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도시형 생활주택의 인허가 실적이 2월들어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7월 사업승인 가구수가 30가구 미만으로 확대된 뒤 대기 수요가 일부 소진된데다 추가 규제 완화를 앞두고 사업자들이 인허가를 미룬 것으로 풀이된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2월 도시형 생활주택 인허가 실적은 총 2천567가구로 전달의 3천297가구에 비해 22% 줄었다고 7일 밝혔다. 3월 통계는 아직 집계되지 않았다.

서울의 경우 1월 892가구에서 2월에는 378가구로 57.6%나 급감했고 인천은 303가구에서 151가구로 50%, 대전은 260가구에서 153가구로 41.2%, 부산은 814가구에서 576가구로 29.2% 각각 감소했다.

이에 비해 경기도는 1월 528가구에서 2월에는 784가구로 48.5% 증가했고, 충남은 104가구에서 156가구로 50%, 제주는 121가구에서 278가구로 130% 가량 늘었다.

2월 전체 인허가 건수가 감소한 것은 원룸형 도시형 생활주택과 주인 거주용 일반주택 1가구의 복합 건축 허용은 최근에야 법 개정이 끝나 이달부터 허용되고, 건립 가구수를 300가구 미만으로 확대한 조치는 현재 하위법 개정이 진행되고 있어 법 시행 이후로 인허가를 미룬 것으로 보인다.

올해들어 1~2월 두달 간 전국의 인허가 실적은 총 5천864가구로 집계됐다.

유형별로는 원룸형이 5천190가구로 89%의 절대 다수를 차지했고, 단지형 다세대 290가구, 기타 384가구다.

규모별로는 30가구 미만이 3568가구(61%)로 가장 많았고, 100가구 이상이 1177가구로 뒤를 이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