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경제발전축 '도심·강남·여의도' 3핵화

입력 2011-04-05 12:34수정 2011-04-05 12:4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30 도시기본계획안 마련...1도심ㆍ5부도심ㆍ11지역중심→3핵ㆍ3부핵ㆍ13거점

서울시가 도심과 강남 2개로 나눈 경제 발전축을 여의도·영등포를 추가한 3개축으로 재편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5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안'을 발표했다. 도시기본계획은 토지이용·주택·교통·공원녹지 등 서울시의 도시공간계획과 관련한 최상위 법정 계획이다.

특히 이번 계획은 지난 2009년 도시기본계획 승인권한이 정부에서 지방으로 이양된 후 서울시장이 승인·확정한 첫 계획이다.

계획안에 따르면 시는 서울의 미래상을 ‘살기 좋은 글로벌 녹색 서울’로 정하고 도심과 강남, 여의도·영등포 등 3개 지역이 서울의 경쟁력 강화를 선도하도록 했다.

시는 이 곳에 외국 기업을 유치하고 글로벌 업무 환경을 조성해 수도권뿐 아니라 국제 업무중심지로 육성하기로 했다.

아울러 용산, 청량리·왕십리, 상암·수색은 ‘3부핵’으로 정해 ‘3핵’의 기능을 지원토록 할 방침이다.

시는 과거 부도심에서 담당한 도시 서비스 기능은 8개의 광역 연계거점과 5개의 지역거점을 중심으로 수행토록 했다.

광역 연계거점은 망우와 창동·상계, 연신내·불광, 마곡, 대림·가리봉, 사당·남현, 문정·장지, 천호·길동 등으로, 이 지역은 인근 경기·인천 지역 도시와 연계해 생산·발전 기반을 갖춘 수도권의 중심 거점으로 육성된다.

지역거점은 미아, 신촌, 공덕, 목동, 잠실 등으로, 상업·업무거점으로 조성된다.

이번 계획에 따라 2020년을 내다본 도시계획인 ‘1도심, 5부도심, 11지역중심, 53지구중심’ 체계가 ‘3핵, 3부핵, 13거점(광역 8개, 지역 5개), 50지구중심’으로 개편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이 세계 대도시와의 경쟁에서 앞서가기 위해 이번 계획안을 만들었다”며 “이 계획을 통해 서울 곳곳이 생산력과 활력을 갖추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 공간구조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