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포럼서 언급… 7.0 지진 가능성은 낮아
한반도가 지질학적 위치 및 구조상 일본ㆍ중국 등 이웃나라에 비해 강진 가능성이 낮은 것은 사실이지만, 규모 6.5 이상의 강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헌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는 23일 서울 테헤란로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한반도 지진과 원자력 안전' 주제 포럼에서 "한반도의 역사적 지진 기록이나 지체 구조 등으로 미뤄 규모 6.5 이상의 지진도 가능하다"며 "그러나 7.0 이상 지진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지 박사의 설명에 따르면 한반도는 지질학적으로 중국 탄루 단층대와 여러 판 경계가 겹쳐 있는 일본 열도 사이에 놓여있다.
한반도 좌우의 이 두 지역은 매우 취약한 지질구조로, 이번 일본 대지진을 비롯해 강진이 빈발하는 곳이다.
한반도의 경우 현재 인도양판이 유라시아판을 미는 힘과, 태평양판이 유라시아판ㆍ필리핀판 등을 미는 힘을 동서 방향에서 동시에 받고 있다.
그러나 약한 중국 탄루 단층대와 일본 열도의 지각에서 지진 등의 형태로 먼저 에너지가 분출되면서, 상대적으로 한반도는 힘을 받더라도 에너지가 축적될 여지가 적고 강진 가능성이 작아진다.
그렇다고 한반도 강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은 과거 역사적 기록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승정원일기는 1643년 7월 24~25일 울산 동쪽에서 큰 지진이 일어나 땅에 구멍이 났고 이후 물이 솟아 높이 모래가 쌓인 것으로 기술하고 있는데, 각 학자 및 분석 기관에 따라서는 이 지진의 강도를 7~9까지 평가하고 있다.
고려사에도 불국사와 석가탑 등이 지진으로 붕괴돼 다시 지었다(중수)는 기록이 있다. 경주 동쪽의 강진을 시사하는 것으로, 실제로 지질학적 조사에서도 경주 동쪽 지역에서 활성단층의 흔적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아울러 지 박사는 과거 일본 및 중국 강진시, 1~10년 안에 우리나라에도 지진이 발생했다는 가설도 소개했다.
우리나라에서 지진 발생 가능성이 가장 큰 지역은 추가령ㆍ옥천ㆍ양산 단층 부근이 지목됐다.
토론자로 나선 이진한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일본 혼슈ㆍ홋카이도 서북연안에 대규모 역단층 있어 7.0이상 지진이 수년, 수 십년에 한 번씩 발생하고 있다"며 "이 단층은 8.0~9.0 이상 지진도 가능한 만큼 우리나라 원전 설계시 예상 쓰나미 높이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무환 포항공대 첨단원자력 공학부 교수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전기가 들어가야 움직이는 시스템(액티브 시스템)의 문제, 원자로 데이터 측정이 불가능할 경우의 대처방법, 원자로 수소 제어의 중요성 등을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이어 "수소폭발, 증기폭발, 사용 후 핵연료 위험성, 콘크리트 주입 등 가능성 희박한 최악의 상황이 언론 등에서 보도되는 것을 보고 안타까웠다"며 "정확한 정보를 국민들과 공유하는 체계도 다시 한 번 살펴봐야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