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가격 올들어 28% 상승...금광업체 PER은 5년새 반토막
![](https://img.etoday.co.kr/pto_db/2011/03/600/20110322092803_kirimi99_1.jpg)
금광업계의 주가는 최근 금값랠리에 상응하는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금값은 일본 대지진 위기와 리비아 사태의 불확실성으로 고공행진을 펼치고 있다.
뉴욕상품거래소(NYMEX)에서 거래된 4월 인도분 금 가격은 이날 10.30달러(0.7%) 오른 온스당 1426.40달러를 기록했다.
금값은 일본 대지진에 이어 리비아 사태가 악화하면서 겹쳐 올 들어 28% 올랐고 2006년에 비해 40% 상승했다.
귀금속 관련 기업인 아그니코 이글마인(Agnico Eagle Mine)은 앞으로 1년 안에 금 가격이 온스당 1600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점쳤다.
금광회사의 주가도 동반 상승했다.
세계 최대 금광회사 배릭골드의 주가는 지난해 초보다 23% 올랐다.
금광업체의 주가수익비율(PER)는 그러나 고공행진 중인 금값만큼 높아지지 않았다고 WSJ은 지적했다.
금융 정보업체 팩트세트에 따르면 배릭골드 뉴몬트골드 킨로스골드 등 세계 3대 금광업체의 평균 PER는 5년전 28배에서 올해 17배로 하락했다.
주가수익률이 떨어질 수록 주식가치가 기업이 내는 순익에 비해 낮아 그만큼 저평가됐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시장은 금 매장량 한계로 인해 금광업체의 성장잠재력이 제한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WSJ는 풀이했다.
용어설명: 주가수익비율(PER)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것으로 투자판단의 지표로 사용된다. PER가 높으면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에 비해 주가가 높게 평가된 것이며 반대로 낮으면 이익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된 것으로 해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