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부 "신문광고 정상화 방안 마련"

입력 2011-02-21 21:27수정 2011-02-21 22:2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디어정책 대국민 업무보고 가져

신문광고 시장을 정상화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된다.

그동안 국내 신문광고 시장은 모든 신문사에 동일하게 광고를 나눠주는 '원턴방식' 광고 집행을 강요하는 관행과 불합리한 요금체계로 시장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했다.

21일 문화체육관광부가 미디어정책 대국민 업무보고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올해 정책 추진 과제를 발표했다.

김갑수 문화부 미디어정책국장은 "ABC제도의 본격 추진으로 신문 시장의 투명성과 합리성을 높이겠다"면서 "신문산업의 디지털 대응을 적극 지원하고 뉴스 콘텐츠 유료화를 위한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ABC제도란 신문·잡지의 발행부수를 실제로 조사하여 공개하는 것이다.

문화부는 신문광고 단가 산정 방법에 대해 신문ㆍ광고업계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포럼을 운영할 계획이다. 신문에 싣는 정부 광고의 단가 체계를 마련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정부 광고에 대해 10% 대행 수수료를 일률적으로 징수하는 관행을 바꾸는 것이다.

아울러 한국ABC협회가 종이신문 독자를 비롯해 웹ㆍ모바일ㆍ태블릿PC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뉴스 콘텐츠를 읽는 독자인 '통합 오디언스(Total Audience)'에 대해 시범 조사하는 것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또 이날 업무보고에서는 미디어와 방송ㆍ영상, 출판 분야에서 창의적이고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콘텐츠 창작기반 조성을 위한 다양한 제안이 쏟아졌다.

MBC 다큐멘터리 '아마존의 눈물' 작가 고혜림씨는 "콘텐츠는 사람에게서 나오기 때문에 콘텐츠의 질은 누가 만드느냐에 달려 있다"며 "방송작가들의 원고료가 턱없이 낮아 능력있고 똑똑한 작가들이 몇 달 버티지 못하고 도망가고 만다"고 전했다.

고 작가는 "외국의 경우 제작비의 10%가 작가 원고료로 할당되는데 한국은 원고료가 최저 생계비 수준에 머물러 있다. 원고료를 현실화해야 양질의 콘텐츠가 나온다. 작가들에게 더 이상 희생을 강요하지 말아달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