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재 카드뮴 기준 완화 찬반 논쟁 뜨겁다

입력 2011-02-18 07:5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약재 카드뮴 기준을 현행 0.3ppm에서 1.0ppm으로 완화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찬반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한약재 중금속 기준 개선, 타당한가?'라는 토론회가 지난 17일 서울 국회도서관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 참석한 김경호 대한한의사협회 약무이사는 "국내 한약재 중금속 기준은 과도하게 높게 책정돼 있어 한약재를 수입할 때 부적합 품목이 발생되고 있다"며 기준 완화를 주장했다.

김 이사처럼 찬성하는 측은 원활한 한약재 수급을 위해 필요하다는 주장을 내세웠다. 즉, 높은 기준 때문에 한약재 수급과 유통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 이들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실시한 위해성 평가에서 기준을 완화하더라도 위해지수가 0.011∼0.044인 안전한 수준으로 나타난 만큼 과학적 분석결과를 고려해 기준을 합리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기준완화 반대 측은 소비자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재옥 소비자시민모임 회장은 "수입한약재 1949건 가운데 6.8%인 133건만이 현행 카드뮴 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일부 부적합 한약재의 수입을 위해 기준을 완화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2005년 식약청이 처음 카드뮴 기준을 마련할 때 참고했던 세계보건기구(WHO)의 한약재 카드뮴 기준이 0.3ppm으로 유지되고 있는 만큼 현행 수준을 완화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카드뮴 기준을 완화하더라도 중금속에 취약한 일부 소비자를 감안해 보완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