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포지구 지구단위계획 보류 전세대란 역풍

입력 2011-02-11 13:2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현장 관계자들 23일 위원회 재상정에 기대

“기대가 컸던 만큼 실망감이 적지 않습니다. 그래도 곧 확정 발표가 나오지 않겠습니까.”(개포주공1단지 조합원 P씨)

서울 강남권 매머드급 재건축 단지인 개포지구 지구단위계획 변경안이 지난 9일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보류되면서 동요가 일고 있다.

개포지구 일대의 재건축 대상 단지인 개포주공1~4단지, 개포시영 등은 올 초 들어 지구단위계획 발표를 염두에 둔 매수세로 상승세를 탔다. 특히 사업 추진이 가장 빠를 것으로 기대되는 개포주공1단지의 경우 호가 급등과 함께 급매를 찾는 매수문의가 봇물을 이뤘었다.

개포주공1단지 36㎡이 지난주 6억7000만~6억8000만원에서 7억원대로 뛰는 등 단지별로 최근 일주일새 가격이 1000만~3000만원씩 올랐다. 그만큼 이번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 결과에 대해 기대감이 컸던 것. 그러나 막상 ‘보류’ 판정이 나오면서 다소 의외라는 반응과 함께 추후 결정에 귀 기울이는 분위기다.

개포동 D공인 대표는 “지구단위계획 보류 방침이 알려지면서부터 매수문의가 뚝 끊겼다”며 “그래도 23일 재상정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만큼 관심이 되살아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이는 곧, 아직까지는 시세 및 호가의 하락 움직임은 없지만 오는 23일에도 결정이 미뤄질 경우 실망매물의 등장과 함께 집값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 따르면 소형주택 확대, 허용 용적률 인센티브 적정여부, 공원 연접부 고층 배치에 대한 적정여부에 대해 검토가 필요하다는 게 보류 결정의 이유다.

이에 대해 현장에서는 이번 보류 결정이 최근 정부의 주택정책 방향과 무관하지 않다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개포주공4단지 조합 관계자는 “정부가 전세난에 따른 서민 대책 마련에 몰두하는 상황에서 주택 매수심리를 부추길 수 있는 대표적 사안인 개포지구 재건축 결정에 서울시가 부담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개포주공1단지는 2003년 말 조합설립인가를 마쳤고, 주공 2~4단지와 개포시영은 정비계획 수립 후 정비구역 지정과 조합 설립 인가 등의 절차를 앞두고 있다. 지구단위계획안이 확정되면 이들 단지는 기부채납 10% 이상의 경우 용적률 250%로 2종일반주거지역 법정상한까지 재건축이 가능해진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