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보증기금 국내 中企 자금조달효과 60% 이르러

입력 2011-02-10 09: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소기업 운영 효과 톡톡...추가 보증 지원 뒤 양호한 재무적 효과 발생

기술보증기금의 기술금융이 국내 중소기업의 주요 자금조달수단으로 정착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규보증을 지원한 뒤 추가적인 보증을 지원받은 중소기업은 재무적 부분이 양호하게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사단법인 한국중소기업학회는 10일 기술보증을 받은 1852개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기술보증의 성과분석’ 보고서를 통해 기보가 지원하는 기술보증의 자금조달효과가 60%에 이른다고 밝혔다.

기술보증 자금조달 효과란 부동산 담보 등 일반적인 대출시스템을 통한 자금외에 순수하게 기술보증으로 가능한 자금 비중을 의미한다.

이번 보고서는 기술력이 우수한 중소기업의 상당수가 기술보증을 통해 주요 자금을 안정적으로 확보해 기술개발 및 사업화에 매진할 수 있게 된 것으로 평가했다.

또한 기술 보증을 통하지 않고 다른 수단만을 활용할 경우 각 기업이 필요한 자금의 40%밖에 조달할 수 없기 때문에 기업운영상 상당한 어려움에 처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최초 신규보증을 지원한 이후 5년간의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최초보증 이후 추가적인 보증지원을 받은 중소기업의 성장성 및 안정성이 보증지원 이후에 양호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기업에 대해 지속적인 사후관리와 자금수요를 판단해 적극적인 추가보증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중소기업학회는 이같은 연구결과에 대해 기보가 그동안 기술보증의 저변 확대와 함께 보증자산의 질적제고에도 노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했다.

기보 진병화 이사장은 “우리의 노력이 이번 한국중소기업학회의 연구에서 명확히 증명이 됐다”며 “기보의 기술금융효과가 더욱 배가될 수 있도록 첨단 하이테크 제조업과 함께 지식서비스산업과 녹색산업 등 미래 신성장동력 창출 분야를 적극 지원함으로써 작지만 강한 스몰 자이언트(Small Giant) 기업이 창출되는데 일익을 담당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