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바이오기업, 슈퍼박테리아 구조 규명

입력 2011-02-07 12:37수정 2011-02-09 18:2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국 PDB 등록ㆍ특허출원…새 항생제 개발 기대

지난해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 넣은 슈퍼박테리아균 감염에 대처하는 새로운 길이 국내 바이오기업에 의해 열릴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크리스탈지노믹스는 전 세계적으로 슈퍼박테리아 공포를 불러일으킨 ‘NDM-1(뉴델리 메탈로-베타 락타마제)형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의 구조를 규명했다고 7일 밝혔다.

NDM-1은 카바페넴계열 항생제를 분해하는 단백질이다. 이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갖고 있는 세균은 항생제를 분해해 버리므로 다제내성균(슈퍼박테리아)가 되는 것이고 크리스탈지노믹스는 그 단백질의 구조를 처음으로 밝혔다는 것이다.

이 회사는 관련 분석 자료를 미국의 ‘단백질 정보은행(PDB)’에 처음으로 등록했으며 이와 관련 내용으로 국제특허도 출원했다고 설명했다. 이로써 회사 측은 이 내성균의 감염에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항생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내성균은 가장 강력한 항생제인 ‘카바페넴’이 듣지 않는 병원균으로 면역력이 약해진 중환자 중심으로 혈액을 통해 감염된다. 또 요로감염과 폐렴, 패혈증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한 감염 질환을 일으켜 환자를 사망에 이르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슈퍼박테리아 균은 인도와 일본에서 발견된 뒤 현재 국내를 비롯해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등 20여 개국으로 퍼져있다. 또 2010년 영국에서는 이 균에 감염된 신생아가 죽고 일본에서는 병원 환자들을 집단 사망에 이르게 했다. 국내도 이 감염균으로부터 안전지대가 아닌 것으로 밝혀졌으며 전 세계적으로 이 균에 대한 대처 치료법은 없는 상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