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분기 GDP 전기比 0.5%↑…8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
우리나라가 지난해 연간으로 6.1%의 경제성장률(국내총생산 증가율)을 기록했다. 다만 지난해 4분기에는 전기대비 성장률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경제성장 속도가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은행은 26일 ‘2010년 4·4분기 및 연간 국내총생산(속보)’ 발표를 통해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은 전년보다 6.1%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카드사태 직전인 2002년(7.2%) 이후 8년 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연간 경제성장률은 2007년 5.1%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2008년 2.3%, 2009년 0.2% 급락했으나 지난해 6%대로 올라간 것이다.
한은은 수출 호조와 그에 따른 제조업생산 및 설비투자의 활기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고 평가했다. 2009년 성장률이 11년 만에 최저치인 0.2%를 기록한 데따른 기저효과도 영향을 미쳤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해 GDP는 수출 호조와 그에 따른 제조업생산 및 설비투자의 활기로 6.1% 증가해 2002년 7.2% 성장한 이후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면서 “제조업이 14.6%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서비스업도 운수 및 보관업, 도소매업,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 등을 중심으로 성장세다 확대됐다”고 말했다.
다만 지난해 4·4분기 중 전기대비 성장률은 0.5%로 2009년 1·4분기 이후 8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을 했으나 작년 1·4분기(2.1%), 2·4분기(1.4%), 3·4분기(0.7%)보다 점차 둔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제조업은 전기전자 등이 부진하면서 전기 대비 0.7% 감소해 1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건설업은 주거용 건물과 토목을 중심으로 5.3% 감소하면서 1998년 2분기의 -5.6% 이후 12년 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서비스업은 문화 및 오락업, 금융보험업, 운수 및 보관업 등의 호조로 1.3% 증가했으며 농림어업도 1.3% 증가하면서 증가세로 돌아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