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다 보이스 피싱 "계좌유출 미끼 57%, 경찰 사칭 38%"

입력 2011-01-19 11: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우본, 지난해 전화사기 271건 60억 피해 막아

보이스 피싱 사기범들은 계좌가 유출됐다고 속여 안전한 계좌로 이체시키는 사기수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주로 경찰을 사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정사업본부는 '2010년 보이스 피싱 피해 예방 활동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우체국에서 보이스 피싱을 막은 건수는 271건, 피해 예방 금액은 60억6800만원으로 집계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2009년과 비교할 때 피해를 막은 건수(208건)가 68건(30%) 늘어난 것이며, 피해 예방금액(45억원)은 15억여원이 증가한 것이다.

지난해 피해 예방 건수와 금액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우정사업본부가 보이스 피싱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우체국과 우편차량, 집배원 등 인적 물적으로 피해 예방을 적극적으로 펼쳤기 때문인 것으로 우본은 분석했다.

보이스 피싱 사기유형은 계좌가 유출됐다고 속이는 것이 154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개인정보 유출이 68건 △전화요금 미납 18건 △납치가장 14건 △기타가 17건 순이다.

우본 관계자는 "계좌유출은 사기범이 전화를 걸어 계좌가 유출됐으니 안전한 계좌로 옮겨야 한다고 속이고 대포통장으로 이체시켜 돈을 빼가는 수법"이라며 "주로 자동화기기(ATM)를 이용해 불러주는 계좌로 이체하라고 하거나 폰뱅킹이나 인터넷뱅킹에 가입하도록 하면서 비밀번호를 빼내기도 한다"고 말했다.

또한 "납치를 가장하는 수법은 전화로 가짜 아들의 목소리를 들려주기도 하는데 당황한 부모들은 이를 눈치 채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사기범들이 사칭한 기관은 경찰이 108건으로 가장 많았고 검찰 39건, 금감원 20건, 우체국 8건 순이다. 이밖에 국세청, 은행, 카드회사, 대출회사, 전화국 등을 사칭한 것이 총 78건이다.

한편 설을 앞두고 보이스 피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체국(콜센터 포함)에 접수된 보이스 피싱 신고 건수는 지난해 11월까지 월 2500~2900건대에 머물렀으나, 12월에는 3300여건으로 10% 이상 증가했다.

우정사업본부 관계자는 "우체국을 사칭하는 보이스 피싱은 크게 줄어든 반면 경찰이나 검찰 등 사법기관을 사칭하는 사례가 늘어났다"며 "설을 앞두고 사기행각이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돼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