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초 전세공급 부족률 74.5%…전세가율도 2006년 수준 근접
최근 전세공급 부족현상이 수급동향 조사가 시작된 이후 가장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겨울철 비수기임에도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인 전세가율은 지속적으로 상승해 아파트값 상승기였던 2005~2006년 수준에 이르렀다.
11일 국토부와 KB국민은행이 전국 1만6530개 부동산 중개업소를 상대로 실시한 주택가격 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의 지난 3일 기준 전세 공급 부족률은 74.5%로 나타났다.
이는 2004년 18.0%, 2005년 7.1%, 2006년 51.7%, 2007년 47.7%, 2008년 38.8%, 2009년 10.5%, 작년 61.6%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다. 집값이 급등했던 2006년보다 전세 구하기가 어렵다는 점을 뒷받침하는 자료이기도 하다.
수도권 전체로는 올해 73.8%로 지난 2005년 7.7보다 무려 10배가량 뛰었고 작년(57.9%)과 비교해도 15.9% 가량 웃도는 수치다.
이번 조사에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한다는 응답은 80.7%를 차지했다. 반면, 공급이 많다는 답변은 2.4%에 그쳤다. 16.9%는 공급과 수요가 비슷하다고 답변했다. 반면, 수요보다 공급이 많다고 답변한 비율은 전국(2.4%), 서울(1.7%), 수도권(3.4%)을 막론하고 2004년 이후 가장 낮았다.
전세난이 심각했던 지난해 1월 첫째 주 조사에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한다는 답변이 73.8%, 공급이 많다는 답변이 3.8%였던 점에 비춰볼때 올 들어 전세 공급 부족률이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세가율도 집값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던 지난 2005~2006년 수준에 근접했다.
지난해 12월 전세가율은 전국 평균 57.1%로, 2006년 3월(57.2%) 이후 거의 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세가율은 전셋값을 매맷값으로 나누고 나서 100을 곱한 것이다. 즉, 전세가율이 57.2%라는 것은 아파트 값이 10억원일 때 전셋값은 5억7200만원이라는 뜻이다.
전세가율은 1998년 50.8%에서 2000년 65.7%, 2001년 68.9%, 2002년 65.3% 등으로 치솟으며 아파트 값 폭등의 원인이 됐다.
전세부족 현상이 심각한 상황에 이르자 정부는 대책마련에 고심이다. 국토부는 10일 새해 첫 경제금융점검회의에 정종환 장관이 참석한 데 이어 13일 발표하는 물가안정 종합대책에 전세대책을 포함할 예정이다.
하지만 지난 7일 당정회의에서 소형·임대 주택 공급 활성화, 전세자금 지원 확대, 재개발·재건축 이주 수요 분산 등의 대책 이외에는 뾰족한 방법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