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국가공간정보인프라구축 3256억 투자

입력 2010-12-26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내년 국가공간정보인프라 구축에 정부가 3256억원을 투자한다.

국토해양부는 '2010-2015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에 따라 매년 각 기관별 집행계획과 투자계획을 종합한 '2011년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지난 24일 국가공간정보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이에 따르면 2011년도 국가공간정보인프라구축을 위해 국가공간정보체계구축 등 상호협력적 거버넌스 분야에 848억, 유통체계구축 등 공간정보접근 분야에 71억, 참조체계구축 등 공간정보 상호운용 분야에 28억, 기본도수정.갱신 등 공간정보 기반통합 분야에 960억, 지능형국토기술혁신사업에 134억을 투자할 방침이다.

또한, 16개 시도에서 추진하는 공간정보사업은 1215억이 투자될 계획이다. 이로써 전체 예산은 3256억원이 투입된다.

내년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의 특징은 국가공간정보인프라의 활용체계 구축 및 운영, 사용자의 접근강화 및 상호운용 확보를 위해 유통기반, 참조체계 등 활용 지원부문의 투자가 확대되는 점이다.

특히, 국가공간정보에도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유일식별번호가 부여돼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구축.관리할 뿐만 아니라, 소셜네트워크, 스마트폰과 같은 급속히 변화하는 첨단 IT환경에서 공간정보에 기반한 융합서비스가 효과적으로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내년에 11종 부동산 공부가 2013년까지 18종 부동산 공부로 통합.개선된다.

이와 함께, 그간 시지역만 추진하던 지하시설물 통합 전산화 사업을 군 지역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부동산 행정정보 일원화사업'을 새로 추진해 18종의 부동산 공적장부가 단계적으로 1장에 통합해 맞춤형 부동산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내년부터 시작돼 2015년 마무리된다.

이 작업이 완료되면 2015년 모든 지하시설물 정보가 통합 전산화되면 첨단기술에 의한 상수도 누수피해 최소화, 도로 중복굴착 방지 등 각종 안전사고 예방체계가 한층 강화되고 과학적인 도로 및 하천관리도 가능할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하고 있다.

이와 관련, 국토부는 내년 3000억이 투자될 경우 약 9000명의 고용창출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2011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의 상세한 내용은 국토해양부 홈페이지(www.mltm.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