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구제역 마지막 수단 ‘예방백신’ 접종키로

입력 2010-12-22 15:50수정 2010-12-22 15: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가 결국 구제역 사태를 진화하기 위해 예방백신 접종 카드를 꺼내 들었다.

정부는 경북 안동에서 시작된 구제역이 청정지역인 강원지역으로까지 확산되자 구제역 대책의 ‘마지막 수단’인 예방백신을 접종키로 내부 방침을 정한 것으로 22일 알려졌다.

그러나 예방백신의 접종 범위 등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이날 오후 4시 농림수산식품부가 주관하는 긴급 가축방역협의회에서 구체적인 범위가 정해질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정부가 예방백신 접종이란 수단을 선택한 것은 국내 최고의 청정지역인 강원 평창에서 구제역이 처음 발생했을 뿐 아니라 인근 화천에서도 구제역이 발생하는 등 전국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춘천에 이어 원주에서도 이날 잇따라 의심신고가 접수된 것도 백신접종 카드 사용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백신 접종은 지난 2000년 구제역 당시 단 한 차례 사용한 바 있다.

하지만 구제역 예방백신 접종은 중단 후 1년이 지나야 구제역 청정국 지위가 회복된다.

백신의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구제역 피해도 계속될 수밖에 없다. 반면 살처분·매몰 방식은 마지막 구제역 발생 후 3개월 동안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으면 청정국 지위가 회복된다.

게다가 예방백신 접종은 비용도 상당히 많이 들기 때문에 세계 각국에서는 마지막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실제로 가축 10만마리를 기준으로 백신을 처방할 경우 무려 6억원 가량의 비용이 든다.

예방백신 접종은 △구제역 진원지를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내 지역을 접종하는 ‘링 백신’ △특정 지역 전체를 접종하는 ‘지역 백신’ △전국에 걸쳐 접종하는 ‘전국 백신’등 3단계로 나뉜다.

이날 현재 구제역은 의심신고 64건 중 안동·예천·영주·영양·파주·양주·연천·고양·가평·포천·평창·화천 등 13개 지역 44건이 구제역으로 판정됐다.

또 경북 일부 지역 한우농가에서 예방적 차원에서 살처분하는 과정에서도 구제역이 확인돼 전체 구제역은 3개 시·도 16개 지역에서 48건으로 늘었다.

춘천과 원주의 의심신고는 이르면 이날 저녁부터 결과가 나온다.

이번 구제역으로 지금까지 1289농가의 소·돼지·사슴·염소 등 22만4605마리의 가축이 살처분·매몰돼 살처분 보상금만 2300억원을 넘어서는 등 역대 최대 규모의 피해가 예상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