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까지 해외조달시장 1천억달러 달성 목표

입력 2010-12-10 09:00수정 2010-12-10 09: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 해외조달시장 진출확대방안 마련

우리나라의 미개척 분야인 해외 조달시장 선점을 위해 범 정부적 청사진이 제시됐다.

지식경제부는 10일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개최된 제70차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해외 조달시장 진출 확대방안’을 확정했다.

이번 방안은 최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이 늘어나고 조달관련 제도운영의 투명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그간 부진했던 우리기업의 진출 성과를 높이기 위해 여러 부처가 협력해 해외 조달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청사진을 제시한 것이다.

해외 조달시장은 정부 및 국제기구가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해 구매하는 시장을 의미하며 정부조달시장·국제기구 조달시장·개발원조 시장 등 3가지로 구분된다. 지난해 총 해외 조달시장 규모는 9조달러였지만 우리나라의 진출실적은 전체의 0.45%(407억달러)에 그치고 있다.

정부는 우리 기업의 진출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국제기구 조달시장을 우선 공략하고 외국 정부조달시장과 개발원조 시장 진출도 점차 확대, 2015년까지 해외 조달시장 진출 규모를 1000억달러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특히 UN, 다자개발은행 등 국제기구 조달시장에 진출이 유망한 300개 기업을 2년에 걸쳐 선정, 벤더등록과 입찰참가, 계약성사까지 단계별로 지원하는 ‘P300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또한 상품·서비스 분야는 세계무역기구(WTO) 조달협정 가입국을 대상으로 시장 분석을 실시해 타겟시장을 설정하고 우리기업의 진출 확대를 위해 ‘정부조달 전문대행업체’ 50개를 지정·육성할 계획이다.

정부는 건설·플랜트 수주 확대를 위해 해외공관 및 유관기관간 협력을 강화하고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필리핀 마닐라, 인도 뭄바이,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등 5개 지역에 ‘해외수주지원센터’도 증설을 검토키로 했다.

개발원조(ODA) 시장과 관련해서도 지원제도를 개선, 우리 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중소·중견 기업의 참여유도를 위한 인프라를 확충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부처별로 분산된 지원기능을 연계하기 위해 ‘해외 조달시장 진출지원협의회’를 구성, 수시회의를 개최키로 하고 범 정부적 조달시장 진출계획 수립 및 점검, 부처간 이견 상항 조정 등을 논의키로 했다. 또 분산된 정보제공 창구를 통합해 정보 접근성을 제고키로 했다.

지경부 관계자는 “조달시장이 미개척 수출시장이라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범정부 차원의 진출지원 역량을 집중해 나가는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며 “기업이 해외조달시장 진출에 관심을 갖게 할수 있는 방안과 초기진입 장벽을 넘는데 필요한 지원을 하는데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