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물가상승률 높다..OECD 7위

입력 2010-12-08 1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가계·기업 채무부담도 늘어나는 모습

우리나라 경제는 외환·재정 등 거시경제는 안정돼 있지만 물가상승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7위를 차지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가 8일 발간한 ‘국가경쟁력보고서’에 따르면 정부의 재정수지는 2005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3.4%(5위)에서 2009년 -1.8%(4위)로, 정부부채는 2002년 GDP 대비 15.8%(2위)에서 2009년 33.2%(4위)로 각각 악화됐지만 여전히 OECD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경상수지도 11위를 기록하는 등 거시경제 건전성 관련 지표는 안정돼 있다는게 재정부의 설명이다.

전체 물가수준도 OECD 국가 중 가장 낮았지만, 물가상승률은 7번째로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남북간 경제력 격차가 독일 통일 당시보다 크고, 고령인구 부양비가 빠르게 상승(2008년 14.3%→2020년 21.7%)하는 등 향후 재정부담 증가도 예상됐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OECD(2002년 53.1%→2008년 69.9%)에 비해서는 폭이 적었지만 2002년 68.8%(26개국 중 16위)에서 2008년 76.0%(26개국 중 16위)로 증가했고, 기업채무 비율은 2004년 78.0(25개국 중 14위)에서 2008년 113.1%(25개국 중 16위)로 증가해 가계와 기업의 채무부담이 대체로 늘어나는 모습으로 분석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