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대기업 노조 합리적으로 변화"

입력 2010-11-18 06:00수정 2010-11-18 06: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과거 과격하고 강성적이었던 대기업 노동조합들이 최근 노사간 동반성장을 중시하고 현장 노조원 중심의 합리적 노조로 변화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18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노동운동 합리화 사례와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LG전자 노조 사례를 중심으로 합리적 노동운동이 확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지난 7월 현대차 노조가 무분규로 임단협을 타결, 강성노조 운동의 선봉에서 정치투쟁을 일삼던 현대차 노조의 이같은 현상은 노동운동 합리화의 새 전기가 마련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현대차 노조의 변화는 2009년 현장조합원들의 근로조건 향상보다는 정치투쟁에 치중해 온 노조집행부에 염증을 느낀 조합원들이 실리 중도 노선의 현 집행부를 선출하면서부터로 보여진다.

새 집행부는 작년에 무분규로 임단협을 타결했고, 조합원들은 임금, 근로조건 등에 있어 파업했을 때보다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었다.

또 타임오프라는 큰 갈등요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아자동차가 타임오프를 준수하고 20년 만의 무분규 임단협을 타결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완성차업체 전체의 무분규 타결과 노동운동의 脫정치화, 합리화의 계기를 마련했다고 보고서는 평가했다.

보고서는 "노동운동 합리화의 출발은 현대자동차가 처음이 아니다"라며 "현대중공업, LG전자, 코오롱, KT 등은 이미 지난 90년대부터 극심한 노사분규를 겪은 이후 합리적 노동운동을 길을 걸어왔다"고 강조했다.

1990년 골리앗 크레인 농성 등으로 노조 창립 이래 7년간 1조4000여억원의 매출손실을 경험했던 현대중공업은 지난 1995년 첫 무분규 임단협 타결 이후 지난해 경기침체로 인한 경영위기에 회사에 임금협상을 위임하는 결단을 내리는 등 16년째 무쟁의 타결에 성공했다.

또 1989년 경찰서 습격 및 폭행 등 과격 투쟁으로 연간 매출액의 23%에 해당하는 매출손실을 입었던 LG전자는 경영진의 솔선수범과 노사간의 신뢰구축을 통해 21년간 무분규로 임단협을 타결하는 등 안정된 노사문화를 구축해왔다.

하지만 보고서는 일부 대기업 노조의 노동운동 합리화 움직임이 아직까지는 전반적인 산업현장으로 확산되지 못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과거 회사가 노조전임자의 임금을 지급함으로써 조합원 권익향상보다는 정치투쟁을 일삼는 노동운동꾼들이 양산됐다"며 "아직 산업현장의 법치주의도 확립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지난해 쌍용차 사태에서 보듯 정부가 원칙을 지키고 산업현장에 법치주의를 확립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하게 보이면서 노동운동 합리화의 기반이 마련됐다고 분석했다.

한편 전경련 관계자는 "노동계와 일부 정치권의 노동법 재개정 요구로 이제 막 정착단계에 접어든 타임오프제가 흔들리게 될 경우 노사관계 선진화는 요원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