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곡, 대목장, 매사냥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됐다

입력 2010-11-17 07: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우리의 가곡과 대목장, 그리고 매사냥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등재됐다.

문화재청은 16일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제5차 무형문화유산 정부간위원회에서 한국이 등재 신청한 가곡 등 3건을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국은 지난 2001년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이 등재된 것을 시작으로 2003년 판소리, 2005년 강릉단오제, 2009년 강강술래ㆍ남사당놀이ㆍ영산재ㆍ제주 칠머리당영등굿ㆍ처용무에 이어 모두 11건에 이르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이번 회의에서 31개국이 신청한 46건이 모두 유산으로 등재됐으며 중국과 일본은 각각 2건씩 등재했다.

인류무형유산은 1997년 제29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산업화와 지구화 과정에서 급격히 소멸하는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다.

가곡은 시조의 시를 관현반주에 얹어 부르는 우리의 전통음악으로, 조선시대에 꽃을 피웠으며 현대에 이르러서는 창자(唱子)와 청자(聽子)가 서로 즐길 수 있는 노래로 발전했다.

대목장은 나무를 다루는 전통건축의 장인 중에서도 설계와 시공, 감리 등을 도맡아 책임지는 사람을 말한다.

문화재청은 대목장이 등재된 것에 대해 "우리나라 최초의 기능 분야 등재라는 점에서도 그 의미가 있으며 시대적 변화와 유행에 밀려 위기에 처한 대목장 기능과 대목장이 만든 결과물에 더 많은 관심과 흥미를 갖게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매를 훈련해 야생 먹이를 잡는 사냥방식인 매사냥은 한국에서는 한로(寒露)와 동지(冬至) 사이의 겨울에 주로 했다.

매사냥에 대한 등재 신청에는 한국과 UAE뿐만 아니라 벨기에, 체코, 프랑스, 모로코, 카타르, 시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스페인, 몽골이 공동으로 참여했다.

문화재청은 "이전에 문화적 전통을 공유하는 인접국 간 공동 등재는 몇 차례 있었지만 매사냥처럼 동서양 여러 문화권을 아우르는 공동 등재는 이번이 처음이라는 점에서 국제사회에서 모범 사례로 인정받았다"고 평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