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및 사회·문화적 적응 노력 배려 필요
최근 북한이탈주민(이하 탈북자)들을 위한 정책들이 쏟아져 나오며 우리사회의 구성원으로 정착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완전하게 적응하는 데에는 여러 난관이 있어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현재 탈북자들은 2만명을 초과했으며 그 중 수도권에 40%가 나머지는 제주도를 비롯한 전국각지에서 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지방장려정책의 일환으로 전국 16개 시·도 지방자치단체들의 보호아래 이뤄지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관계자는 “이들이 소지한 학력이 인증되지 않는등 한국 사회에서 편견적 시선을 받으며 차별받고 있다고 주장한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직업을 얻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는등 문화적, 언어적 융합에 있어 애로사항이 발생하고 있는 것.
그러나 사회 정착을 알아보기 위해 취업률을 따지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직업을 얻을 때에 노동시간, 근로환경, 정규직·비정규직의 계약 형태등을 따지면 이들은 불리한 조건이 많다.
연고도 없이 북한을 탈출해 제3국을 통해 입국할 때부터 이들은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뿐더러 그동안 사회적·정치적 이념을 한 순간에 바꾸기에는 힘들기 때문. 이로 인해 이들은 일자리를 가진다고 해도 몸 상태가 좋지 않아 노동의 강도가 높은 직업을 택할 수 없다. 제조업의 경우도 비교적 노동력이 적게 드는 직업으로 한정될 수밖에 없다.
또 직장을 다니게 된다고 하더라도 동료 및 상사들과의 의사소통에서 오는 마찰도 피할 순 없다. 이 부분은 다소 시간이 걸리겠지만 탈북자들이 원활한 소통을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되고 기업들도 이들을 도와주며 받아들이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최근 통일부는 포스코와 함께 인천 송도에 위치한 ‘포스코 글로벌 R&D 센터’ 에 내년까지 탈북자 50명의 일자리를 확보하기로 했다. 또 취업한 탈북자에게는 의료급여 자격을 유지시켜주는등 점진적인 개선에 힘쓰고 있다.
한편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은 이들을 위해 헌신한 사람을 발굴·격려 하기위해 오는 23일까지 ‘탈북자 숨은 지원자 공로자’ 공모전을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