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中企 위하면 '중소ㆍ대기업'이라고 하자

입력 2010-10-07 11: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소기업청에 대한 국정감사장. 시작부터 용어를 둘러싼 실랑이가 벌어졌다.

중소기업청 업무현황 발표에서 김동선 청장이 ‘대·중소기업’이라고 말하자 국회 지경위 위원은 적어도 중소기업청에 대한 국감인 만큼 중소기업이 주인이라며 ‘중소·대기업’으로 바꿔 말할 것을 주문했다.

아마도 중소기업 정책을 관장하는 중소기업청장마저 대기업 위주의 인식을 갖고 있으면 약자인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을 제대로 추진할 수 있겠느냐’라는 무언의 질책인 셈이다.

그러나 김 청장은 이후에도 ‘대·중소기업’가 일반적인 용어라며 줄곧 사용했다. 중소 대기업’이란 말이 어색했던 지 이날 국감장에서는 이 말을 듣지 못했다.

통상 양자를 한번에 호칭할 때 주체를 앞에 두는 게 중요성을 강조한다. 우리가 ‘북남 축구’라고 하지 않고 ‘남북 축구’라고 하며 ‘한미 FTA’를 ‘미한 FTA’라고 부르지 않는 것도 같은 이유다.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지난 2008년 말 현재 우리나라에는 제조업 기준으로 상시근로자 300인 이하의 중소기업은 304만4169개로 대기업 2789개보다 1000배나 넘게 많다. 중소기업 비율이 99%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종사원 수 역시 중소기업이 1146만7713명으로 대기업의 160만7711명보다 열배 가까이 많다. 중소기업이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크다는 반증이다.

또한 지난 10년간 중소기업은 379만 5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한 반면 대기업은 60만 3000개의 일자리가 감소했다. 고용창출 효과에도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이 더 많았다.

국가 경제에서 중소기업의 위상이 높아졌지만, 국감현장에서 ‘중소·대기업’이라고 말하라는 의원들의 주문에도 중소기업청장의 입에서 쉽게 이 말이 나오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중소기업의 힘이 강해지고 인지도가 크게 향상돼 ‘중소 대기업’이라는 용어가 자연스럽게 불리는 그 날을 기대해 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