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기수의 머니스나이퍼] 가계부채의 비만을 정상화 시켜라

입력 2010-08-23 14: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그리스나 아일랜드 같은 나라들의 국가 재정상태 악화로 심각한 국가재정 위기 사태에 놓여 있다.

스페인과 이탈리아나 포르투갈이 불안하고 덩달아 영국과 프랑스까지도 호락호락하지 않은 상황이다.

▲서기수 HB파트너스 대표
우리나라는 어떨까.

다행히 우리나라는 1998년 IMF외환 위기를 겪으면서 기업들의 재무구조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외화보유의 중요성에 대해서 눈을 떴기 때문에 현재에 세계에서 손꼽히는 재정 우수국가이자 경제성장 국가로 자리매김 하고 있는 듯 싶다.

하지만 정부기관들의 재정악화에 이은 각 지방자치단체들의 재정상황은 그리스나 아일랜드가 남 얘기가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

여기에 2009년에 855조원까지 늘어난 가계부채에 대한 부담감은 앞으로 우리의 발목을 심하게 잡을 것이다.

한국은행의 자료를 살펴보면 2004년에 600조원이 안되었던 가계부채 규모가 불과 3년만인 2007년도에 800조원을 돌파했고 급기야 2009년에 855조원이라는 어마어마한 숫자로 우리를 당혹케하고 있다.

가뜩이나 전세계적으로 부동산을 중심으로 한 실물자산의 비중이 80%에 육박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상황을 감안하면 환금성이 떨어지고 덩달아 시장의 상황도 좋지 못하기 때문에 가족별로 무계획성의 대출 활용은 자칫 한 가정의 큰 화를 부르기 십상이다.

더 심각한 것은 가계부채의 증가율이 부동산시장이 활황기였던 2003~2004년에 비해 오히려 높게 나온다는 것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영향을 받은 세계적인 경제불황과 만성적인 소비심리 위축과 물가상승의 영향으로 투자형 가계부채가 아닌 생계형 가계부채가 늘었다고 볼 수 있다.

정부에서 부동산시장 활성화를 위해 DTI(총부채상환비율)나 LTV(주택담보대출비율)에 대한 규제를 완화함으로써 부동산관련 가계부채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당분간 우리나라의 국내경제 예측 자료에서 우려사항이나 부정적인 요소로 가계대출이 한 자리를 차지할 것으로 보여진다.

실제 필자가 상담을 하다보면 대출이 작게는 몇백만원에서 5억원 이상인 경우도 봤을 정도다. 평균적인 가계대출의 부담감은 국내 가정에 큰 문제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향후의 가계 자산관리 운용 전략에 있어서 대출 상환을 통한 빚 줄이기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쌀 한톨 한톨이 모여서 큰 가마니를 이루듯 각 개인별 가계별 대출에 대한 인식을 새로이 정립하고 그 위험도를 정부차원에서 수치로 표시해서 느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나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HB파트너스 대표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