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희토류 수출 통제에 日산업계 비상

입력 2010-08-20 09:5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희토류 가격 30% 급등.. 자동차ㆍ전기업계 희토류 대란 우려

중국이 하이브리드차와 절전형 가전 부품에 필수 원자재인 희토류 수출량을 대폭 줄이면서 일본 산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중국 정부가 올해 희토류 수출 할당량을 3만t 가량으로 결정해 지난해보다 무려 40%나 줄이면서 희토류 대란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의 수출 통제 발표 이후 모터의 자석에 사용되는 네오디뮴 등을 포함해 이트륨, 세륨, 란탄 등의 희토류 가격은 30% 가량 급등했다.

중국산 희토류의 최대 수입국인 일본 산업계는 고민이 아닐 수 없다.

일본 대형상사인 소지쓰의 희토류 담당자는 “일본 상사와 합금 업계가 패닉에 빠졌다”고 토로하는 한편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20일 “중국이 수출량을 앞으로 계속 줄이면 하이브리드차나 절전형 가전 생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세계 희토류의 90% 이상을 공급하는 중국이 수출 통제에 나서면서 곱지않은 시선이 쏟아지는 것도 당연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14일(현지시간) 중국 정부가 차세대 산업 발전으로 희토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점에 주목, 희토류로 해외 자본 유치를 가속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중국 정부는 해외 기업들이 현지에 희토류 가공공장 설립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일본 상사는 “제련이나 가공 기술을 보유한 해외 기업을 중국에 유치해 기술 이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며 “하이테크 산업에 반드시 필요한 희토류가 중국에는 경제 외교의 유력한 무기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정부가 희토류 광산업계를 소수의 국영기업 중심으로 재편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도 이와 일맥상통한다.

지난 10일 희토류의 주요 산지인 광둥성 허웬 시 등 중국 남부의 15개 도시는 희토류 채굴량 관리와 동일 가격 메커니즘을 적용하는 행동계획에 조인했다.

이는 중국 정부가 영세업체들의 과당경쟁과 불법 채굴로 희토류 가격이 과도하게 떨어졌다고 판단, 희토류의 생산과 유통, 판매의 전 과정을 사실상 정부가 직접 관리에 나선 데 따른 움직임이라는 설명이다.

원자바오 총리는 지난달 독일 기업들과의 회담에서 “수출을 중단하지는 않겠지만 적절한 가격에 적절한 양이 수출돼야 한다”고 발언해 희토류가 지금까지 지나치게 싼 값에 해외로 과잉 유출돼왔다는 인식을 나타낸 바 있다.

일본 나오시마 마사유키 경제산업상은 오는 28일부터 중국 베이징에서 시작되는 중일 고위급 경제회담에서 중국 정부에 수출범위를 확대하도록 요구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중국을 설득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지난 18일 중국을 방문한 곤도 요스케 경제산업성 세무관도 중국 정부에 개선을 요청했으나 중국 정부는 지난해 수출량 5만t이 시장에서 완전히 소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발뺌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