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진단]②부동산 침체에 금리인상까지 건설사 ‘패닉’

입력 2010-07-15 06:01수정 2010-07-15 06: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은행이 이달 기준금리를 연2.25%로 0.25%포인트 인상하면서 부동산 시장이 패닉상태에 빠졌다.

금융위기 이후 주택시장이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마당에 주택구매자에 대한 대출이자 부담이 늘어나면서 소비심리는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올 하반기부터 한두 차례 금리가 더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소비위축은 갈수록 악화될 것이라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가격은 실질적인 매매가격보다 심리가 먼저 작용한다.

예컨대 A단지 아파트 프리미엄이 5000만원 올랐다는 소문이 퍼지면 다소 차이는 있지만 비슷한 수준에서 매매되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아파트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면 더 떨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에 매수자가 나타나지 않는다.

투자 심리도 바닥이다. 경기가 호전될 경우 프리미엄을 기대하며 간간히 신규 분양시장에 뛰어들던 투자자마저 주택가격 추가하락 우려로 지갑을 닫아버렸다.

건설사들의 자구노력도 무용지물이다. 수도권에 신규 분양한 B건설사의 경우 분양가를 당초 20% 낮추고 분양에 나섰으나 결과는 참패였다. 소형 주택을 제외하고는 '0'에 가까운 청약률을 기록한 것이다. 이에 따라 지난 5월말 전국 미분양 아파트는 전월 11만409가구에서 11만460가구로 또다시 증가했다. 민간 건설사의 분양이 거의 전무하다시피 했던 상황에서 미분양 물량이 증가했다는 것은 주택시장이 얼마나 심각하게 얼어붙었는지를 방증한다.

부동산 시장 침체로 직격탄을 맞은 건설업계에서는 정부가 부동산 시장 활성화를 위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 줄것을 요구하고 있다. 금리인상 파급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부동산 규제부터 풀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조직적으로 일고 있는 것.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금리가 더 올라가면 분양 계약자들이 대출을 받아 분양을 해야 하는데 이러한 수요는 더 위축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건설사들은 신규투자를 더욱 보수적으로 하고 돈맥경화가 더 심화될 경우 아예 사업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부동산 시장이 위축될 경우 결국 하반기 국내성장률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소비를 늘리고 금리인상 파급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강력한 활성화 대책이 나와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