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인수 위한 차입 어렵고 재무구조 악화시 채권단 평가 알 수 없어
현대그룹 채권단이 현대그룹의 현대건설 인수전에 제한을 두지 않겠다는 조건을 제시한 것에 대해 현실성이 없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채권은행들이 현대그룹의 인수전 참여를 위한 차입에 동의를 해줄 지 의문이고 특히 M&A로 인한 재무개선 악화에 대해 향후 어떤 평가를 내릴지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30일 채권단에 따르면 외환은행 등 14개 현대그룹 채권단은 외환은행 본점에서 전체 채권단 회의를 열고 현대그룹에게 현대건설 인수에 제한을 두지 않겠다는 조건을 제시할 방침이다. 채권단은 이같은 조건을 제시하고 현대그룹에게 1주일간 재무약정 체결 연장 시한을 연장해주기로 결정하기로 했다.
채권단 관계자는 "현대그룹이 현대건설 인수전에 참여하지 못할 것을 우려해 재무약정 체결을 거부하고 있다"며 "현대건설 인수전에 제한하지 않는다는 조건을 달 경우 현대그룹도 채권단의 입장을 받아들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대그룹이 채권단의 이같은 조건에 수긍할지는 미지수이다. 우선 재무약정은 이른바 '구속성을 지닌 약속'과 같기 때문에 채권단이 현대건설 인수를 위한 차입에 대해 동의할지 의문이기 때문이다.
특히 채권단이 재무약정을 체결한 이후 현대건설 인수를 위한 자금을 현대그룹에게 제공해줄 수 있을지도 알 수 없다.
금융권 관계자는 "현대그룹이 채권단의 조건에 동의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현대그룹도 이같은 조건이 뜬구름 잡는 것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고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차입이 가능할지 여부'이다"고 말했다.
또 현대그룹이 현대건설을 인수한 후 재무제표가 개선되지 않을 때도 문제가 된다. 채권단이 현대건설 인수와 분리해서 재무제표를 평가할지 확정도 되지 않은 상황인 데다 현대건설 인수가 현대그룹의 재무구조 개선에 발목을 잡을 경우 그룹 경영진들의 입지도 흔들릴 우려가 있다.
현대그룹 관계자는 "아직 공식적으로 채권단의 입장을 받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뭐라고 언급할 수 없다"며 "채권단이 해운업의 특성을 이해하고 약정체결 대상에서 제외시켜주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한편 채권단은 지난 4월 현대그룹을 재무구조 개선 약정 대상 기업으로 선정하고 약정 체결시한을 두차례나 연장했다. 현대그룹은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이 그룹의 주력사업인 해운업에 대한 이해 없이 약정체결 대상에 선정했다며 재무약정에 체결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