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사용 주의...안정성 확인 안된 배터리 유통

휴대전화용 배터리 40개 모델 3604만개(379억원 상당) 시중에 풀려

국내 주요 대기업의 배터리 납품 업체 관리 소홀로 시중에 안정성이 인증되지 않는 배터리가 무더기로 유통됐다.

서울본부세관은 20일 안전인증을 받지 않은 채 휴대전화용 배터리 40개 모델 3604만개(379억원 상당)를 수입, 시중에 유통해온 2개 업체를 적발, 관할기관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리튬 2차 전지로 분류되는 휴대전화용 배터리는 그동안 몇 차례 발생한 폭발사고로 인해 '품질경영 및 공산품 안전관리법'에 의거, 출고 또는 수입통관 전에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에서 안전확인을 자율적으로 받아야 한다.

세관에 따르면 이들 업체는 휴대전화용 배터리를 중국으로부터 수입, 국내 유명 대기업에 납품해 왔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시중에 유통됐다.

서울본부세관 심사4관실의 최현정 과장은 "소비자들은 안전을 위해 휴대전화를 구매할 때 배터리에 표시된 자율안전확인신고표시(KC마크) 및 인증여부를 확인해야 한다"며 "리튬 2차전지는 휴대전화뿐만 아니라 노트북, PMP, MP3, 네비게이션 등 모든 휴대용 기기에 사용되므로 구입전 반드시 자율안전확인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