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업계, 용달차량 택배업 전환 '왈가왈부'

입력 2010-05-28 09:00수정 2010-05-28 09:1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취지 공감 하지만 실효성엔 ‘글세’

국토해양부와 한국통합물류협회가 야심차게 진행하고 있는 용달차량 택배전환 사업에 대해 택배업계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국토부와 물류협회는 지난 27일 여의도 물류협회 대회의실에서 용달·택배업계간 MOU 협약식을 갖고, 유휴 용달차량 택배전환사업에 들어갔다.

공급 과잉상태인 용달차량을 택배차량으로 전환해 택배업계의 만성적인 차량 부족을 해결하겠다는 구상이다. 물류협회 이번 사업으로 1000~2000대 가량의 용달차량이 택배차량을 전환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국토부는 이번 사업으로 용달업계의 경영개선과 택배업계의 차량 부족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정작 택배업계의 평가는 엇갈리고 있다.

차량 공급 채널이 다양화된다는 점에서 환영하는 분위기와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실효성에는 의문을 제기하는 신중한 입장으로 나뉘고 있다.

일단 택배업계는 차량 부족을 해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사업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특히 그 동안 차량 증차 허용에 대한 택배업계의 요구에 정부가 관심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두는 모습이다.

한 택배업계 관계자는“정부가 만성적인 택배차량 부족현상을 인식했다는 점이 고무적”이라면서“시행하는 과정에서 난항도 있겠지만 택배차량 증차 채널을 다양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실효성에 문제가 있다는 신중론도 만만치 않은 모습이다. 이들은 택배업계와 용달업계의 업태가 다른 만큼 별도의 보완책이 없을 경우 이번 사업이 큰 성과를 내지 못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택배업무가 고객을 직접 상대해야 하는데다 용달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다는 점이다.

회의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한 업계 관계자는“용달사업자의 경우 하루에 3~4건 가량 지정된 장소에 물품을 배송하는 것이 보통이나 택배는 하루에 120건 이상의 물량을 소화해야 하는데다 고객 응대도 중요하다”면서 “자칫하면 차량 부족 해결도 못하고 서비스 질만 하락할 수도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한편 국토부와 물류협회는 택배업계 빅4와 KGB 택배 등 택배 5개사와 용달연합회 물류협회 등으로 협의체를 구성하고 용달차량 택배차 전환을 위한 구체적인 시행안 마련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번 전환사업은 용달연합회가 신청자를 접수해 물류협회에 전달하면 물류협회가 해당 지역의 차량 부족 택배사와 연결하는 형식이다. 전환을 희망하는 용달사업자는 택배사와 지입계약을 맺고 탑 제작 및 도장 등을 지원받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