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리스크, 현대아산 매출에 영향은?

입력 2010-05-26 09:50수정 2010-05-26 11:0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강산 이어 개성공단 운영도 차질 불가피

정부의 개성공단 축소 조치와 북한의 1단계 대남조치 등으로 현대아산의 개성공단 사업이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 정부의 개성공단 인원 축소 및 투자확대 제한 발표에 이어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도 25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북남 사이의 모든 통신연계를 단절한다"며 "개성공업지구에 있는 북남경제협력협의사무소를 동결철폐하고 남측 관계자들을 즉시 전원 추방한다"고 밝혔다.

개성공단 시설공사 및 자재 공급 등의 사업을 진행해온 현대아산으로서는 일정 부분의 매출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현대아산 측은 대북사업으로 인한 손실이 예상만큼 크지는 않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 현대아산 매출 1143억원 중 공사ㆍ용역사업 부문 매출은 984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86.1%를 차지한다. 984억원 중 개성공단 관련 매출은 363억원으로 공사ㆍ용역부문의 1/3 수준이다.

이 같은 비중은 올해 들어 더욱 축소됐다는 것이 현대아산 측의 설명이다. 올해 1분기 현대아산의 매출 376억원 중 공사ㆍ용역부문의 매출은 342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91%다. 이중 개성공단 등 북한 관련 매출은 44억원으로 비중이 12.7%까지 줄었다.

결국 올해 들어 관광 부문 매출을 제외하고 개성공단 건설사업과 대북자재공급사업 남북한운송 등을 모두 포함한 매출은 72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19%까지 축소된 셈이다.

현대아산 측은 또 금강산 및 개성공단 등에 보유한 자산이 북한의 동결이나 몰수 등으로 상실될 경우에도 회사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현대아산 관계자는 “북한 자산의 경우 은행권에서 자산으로 보지 않고 있으며 담보로 활용해 금융차입을 받은 적도 없다”면서 “공신력 있는 기관과 의논해야겠으나 이들 자산이 멸실될 경우에도 회계장부 상 손실로 처리될 뿐 유동성에 영향을 주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의 개성공단 체류인원 축소 방침에 따라 현대아산도 오늘까지 30여명의 주재 직원 중 16명을 남기고 나머지 인원을 복귀시킬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