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업체 66% "유럽재정위기 6개월 이상 간다"

대한상의 조사…10개중 7개사 "피해 불가피"

#1. 거래처 대부분이 유럽에 있는 전남지역 선박제조 A사(社). 유럽 선사의 지급능력에 대한 고민이 크다. A사 관계자는 "그리스 재정위기가 시작된 지난해 하반기부터 10% 가량의 선박대금 입금이 지연되고 있다"면서 "이 문제가 더욱 확산되면 자금운영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하소연했다.

#2. 경기도 신발 원자재 관련 제조업 B사는 유럽 바이어들이 납품단가를 낮추어 달라는 요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B사 관계자는 "남유럽 재정위기가 다시 불거진 5월초 이후 거래하던 유럽 바이어들이 납품단가 10~20% 인하를 요구하고 나섰다"며 "현재 거래처 대부분이 유럽에 있는 실정이어서 마땅한 회피수단도 없다"고 말했다. 이어 "결제 역시 유로화로 지급하는 실정이어서 유로화 약세에 따라 수익성까지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유럽발 재정위기가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가운데 유럽 수출기업의 10개사 중 7개사가 6개월 이상 장기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현지 수출기업 상당수의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유럽지역에 수출하고 있는 국내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유럽재정위기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기업의 34.7%는 '재정위기가 앞으로 1년 이상 지속될 것', 31.0%는 '6개월 지속될 것'이라고 답해 위기가 장기화될 것이란 입장을 밝혔다.

반면 '2~3개월 지속될 것'이라는 응답은 16.0%, '예측하기 어렵다'는 응답도 14.6%, '이미 위기는 넘긴 상황'이라는 응답은 3.7%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재정위기 장기화 전망에 따라 기업들의 17.7%는 '상당한 피해를 입을 것', 50.3%는 '다소간 피해가 불가피 할 것' 등 10개 중 7개사가 피해를 우려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대한상의는 "유럽의 재정위기가 장기화되면 환율, 주가 등 금융시장 뿐 아니라 실물경제에도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라며 "특히 미국과 중국 등 우리 주요시장의 대유럽 수출비중도 높아 문제가 확산되면 미국·중국 경제까지 위축될 수 있어 수출기업의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기업이 우려하는 피해유형으로는 '거래취소·수출감소 등 수출피해'가 43.1%로 가장 많았고 '외환시장 변동에 따른 환위험 부담'(29.5%), '시장불안에 따른 사업계획 차질'(20.1%), '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자금조달 문제'(6.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위기에 대한 기업들의 대응방안으로는 '별다른 대응방안이 없음'이 53.1%로 가장 많았고 '상황 파악·대응방안 검토중'이 26.5%로 뒤를 이었다. '평상시 보다 환리스크 관리를 강화한다'는 응답도 16.7%에 달했다.

그러나 비상경영체계를 운영하고 있다는 기업들은 1.4%에 그치고 있었다.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이번 위기가 유럽 국가들의 재정문제에서 시작돼 환율 등 금융시장 불안, 유럽지역 소비위축 등 전방위적으로 확산되는 분위기"라며 "기업차원에서는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와 비교해서는 기업들의 69.1%가 '리먼 사태보다는 영향이 적겠지만 우리경제에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리먼사태와 비슷한 영향을 미칠 것'(18.0%), '영향이 더 클 것'(3.4%)이라는 응답도 적지 않았다. 반면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의견은 9.5%에 그쳤다.

기업들의 54.4%는 이번 위기에 대한 정책과제로 '환율안정에 주력해 줄 것'을 당부했고 '수출기업에 대한 조세·금융 지원'(24.6%), '금리인상 자제 등 신중한 출구전략 시행'(11.8%), '주식 및 채권시장 안정화'(5.6%), '한국경제 해외홍보 강화'(3.6%) 등도 바라고 있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