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비니 "美 3년내 '채권자경단' 먹잇감 될 것"

입력 2010-05-19 10:59수정 2010-05-19 12:5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뉴욕 대학의 누리엘 루비니 교수가 미국도 영국과 일본 등 거액의 채무를 안고 있는 나라를 표적으로 하고 있는 ‘채권 자경단(Bond Vigilantes)’의 먹잇감이 돼 금융위기의 제2 라운드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유명한 비관론자인 루비니 교수는 18일(현지시간) 런던 정경대학 강연에서 “채권시장의 자경단은 이미 그리스와 스페인, 포르투갈, 아일랜드, 아이슬란드에서 고개를 들었다”며 “곧이어 영국과 일본, 미국에서도 눈을 뜰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자경단은 3년 이내에 미국에서 눈을 떠 미국이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지경에 몰릴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채권 자경단’이란 경제학자이자 월스트리트의 대표적 투자전략가인 에드워드 야데니가 1984년에 만든 말로 한 국가의 부채가 쌓이거나 중앙은행이 지폐를 마구 찍어낼 경우 이 나라의 국채를 대량 매도해 손실을 보전하는 국제 투자세력을 말한다.

거액의 재정적자를 안고 있는 나라들이 유럽연합(EU)의 긴축재정 요건을 달성하느라 고전할 것이라는 우려로 유로는 이날 달러에 대해 4년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루비니는 또 2008년 신용 위기 여파로 발생한 공공 부채 부담이 현재의 금융 위기를 변형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인식을 나타냈다.

그는 “공공 부문의 레버리지가 다시 높아지고 있어 대부분의 나라에서 재정적자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10% 수준에 있다”며 “역사를 돌아 보면 이번 위기는 실제로는 끝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어 그는 “첫 번째 단계를 막 끝냈을 뿐 결국은 제2 라운드를 맞을 리스크가 존재한다”고 역설했다.

4월 미국 재정적자는 827억달러로 월간 기준으로는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미 연방정부의 부채는 오는 2020년까지 GDP의 9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루비니 교수는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올바른 국정운영을 위한 정치적 의사가 억제되고 있다”며 "미 의회가 증세를 막는 공화당과 세출 삭감에 반대하는 민주당 사이에서 교착상태에 빠져있기 때문에 사상 최대의 미 재정적자가 장기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또 유로존 붕괴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유럽경제통화동맹(EMU) 붕괴 리스크가 존재한다”며 “유로존이 경제가 두 번 침체되는 더블딥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