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계 "中企, 인턴기간 줄여 정규직전환 일찍 되게 해야"

입력 2010-05-11 11:00수정 2010-05-11 11:0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한상의 조사…"정규직전환 빨리 돼야 고용불안 해소하고 예산절감도 가능"

중소기업 청년인턴제의 인턴기간을 줄여 정규직 전환이 빨리 이뤄지게 해야 한다는 주장이 경제계에서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1일 "중소기업 청년인턴제의 정규직 전환율이 80%를 넘어서고 있어 인턴기간을 6개월에서 3개월로 줄여 고용불안을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면서 "정부의 인건비 지원도 '인턴기간 6개월+정규직 전환후 6개월' 방식에서 '인턴기간 3개월+정규직 전환후 9개월'로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대한상의가 청년인턴제를 통해 인력을 채용했던 3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청년인턴제에 대한 기업의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69.4%가 이같은 인턴기간 축소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했다.

이에 대해 대한상의는 "3개월 정도만 지켜보면 정규직 채용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데도 6개월의 기간을 둔다는 것은 청년인턴들의 심리적 불안만 가중시킬 뿐"면서 "이렇게 되면 정부의 예산절감 효과도 135억원에 이를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정부는 인턴기간 6개월간 임금의 50%를 80만원까지 지원하고 정규직으로 전환되면 월 65만원씩 6개월동안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중소기업 청년인턴제에 대한 기업의 반응은 매우 좋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의 96.3%가 이 제도가 구인난 해소에 도움이 됐다고 말했고 97.7%는 앞으로도 이 제도가 계속 운영되길 바라고 있었다.

인턴직원의 정규직 전환율은 84.9%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청년실업 해소에도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직 전환 이유로는 인턴기간 동안의 직무능력 인정(61.0%), 평소의 근무태도(25.4%), 인력부족(13.2%) 등을 꼽았다.

중소기업들은 청년인턴제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인턴을 채용한 기업의 71.7%는 인턴에게 기존 직원과 다름없는 현업업무를 부여하고 있었고 업무능력에 대해서도 97.0%의 기업이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기업들이 청년인턴제를 활용하는 주된 이유로 정부의 인건비 지원(50.3%)과 구인난 해결(49.7%)을 절반씩 꼽아 이 제도가 중소기업의 어려운 자금사정과 인력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종남 대한상의 상무는 "중소기업 청년인턴제는 청년실업 해소와 중소기업의 구인난 해결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대표적 정책으로 평가된다"며 "정부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제도를 좀 더 보완하고 지속적으로 운영해 나간다면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층은 물론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소기업 청년인턴제는 15~29세 미취업 청년이 중소기업에 인턴으로 취업하면 정부가 인턴기간 6개월간 임금의 50%를 최대 80만원까지 지원하고 인턴종료후 정규직으로 전환될 경우 월 65만원씩 6개월간 추가 지원하는 제도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