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日 2020년 친환경차 비율 50%로.. 세계 최고

입력 2010-04-13 10: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일본 정부가 10년 후 신차의 차세대 친환경차 비율을 세계 최고 수준인 50%까지 늘린다는 신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경제산업성은 12일 하이브리드차(HV)나 전기자동차(EV) 등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은 차의 보급을 목표로 하는 ‘차세대 자동차 전략 2010’에서 이 같은 방침을 정했다.

경제산업성은 현재 10%인 차세대 자동차 비율을 오는 2020년까지 50%로 늘리기로 하고 오는 6월 최종 마무리되는 신성장 전략에 이를 포함시키기로 했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정부의 보조금 제도 도입이 전제가 된다. 차세대 자동차 전략에서는 자동차 메이커가 정부의 지원을 받지 않을 경우 2020년 차세대 자동차 비율은 20% 미만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감세 및 보조금 제도 등 정부의 지원이 따르면 20~50%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4월부터 도입된 친환경차 구입시 보조금은 총 3000억엔이 집행됐다.

2020년 차종별 판매비율 목표는 HV가 20~30%, 가정용 콘센트로 충전할 수 있는 플러그인 HV를 포함한 전기차가 15~20%로 이 2개 차종이 ‘주역’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연료전지차는 높은 비용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1% 미만으로 잡아 거의 보급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판촉대책 효과는 도요타의 HV ‘프리우스’에서도 확실히 입증됐다. 프리우스는 1997년 첫 출시 후 기존차보다 비싼 가격탓에 판매가 부진했다.

친환경차에 대한 감세혜택과 보조금제 도입이 순풍으로 작용해 2009년도 일본 신차판매 순위에서는 HV로서 처음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경제산업성은 신흥국에서는 비싼 친환경차보다 저가 휘발유차 수요가 강할 것이라는 관측을 반영해 일본 메이커들이 지나치게 친환경차 생산 판매에 의존하지 않도록 지도한다는 방침이다.

차세대 자동차 보급에 반드시 필요한 배터리에 대해서는 2020년까지 보통형 200만기, 급속형 5000기를 설치할 계획이다. 설치장소는 자동차 영업소와 상업시설, 편의점등으로 정했다.

또 경제산업성은 전기차의 배터리 연구개발과 희소금속 확보도 목표에 포함시켰다.

이번 ‘차세대 자동차 전략 2010’은 자동차 업체의 최고경영진 등으로 구성된 경제산업성의 차세대 자동차 전략 연구회에서 작년 11월부터 지속적으로 검토해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